과연 용산이 강남을 능가할 것인가? 임성환 최근 부동산전문가로 자칭하는 사람들이 언론을 통해 향후 10년 내 용산이 강남을 앞지를 것 이라는 전망을 하고 있다. 한국판 베버리힐스가 되고 평당 1억이 간다느니 하며 상당히 긍정적인 전망을 하고 있다. 그런데 아이러니한 것은 장기 전망을 주장한 사람이 가까운 1년 부동산전망을 제대.. 전문가 칼럼 2011.03.03
부동산은 차라리 바보가 되는 게 옳다 윤정웅 토끼굴이 올가미 된 토끼 같은 서민들 3월 말까지 한시적으로 풀어놓았던 총부채상환비율(DTI-원리금 상환액이 소득의 일정비율을 넘지 않도록 대출해 주는 제도)의 부활여부를 놓고 요즘 금융권에서 고심하고 있답니다. 규제를 계속 풀어주면 가계부채가 증가할 것이고, 규제를 다시 하면 부.. 전문가 칼럼 2011.03.03
은퇴한 베이비부머는 주택을 팔까? 김인철 유일한 재산 , 주택에 애착이 강하다. 이론에 따르면, 베이비부머가 은퇴를 하면 자신의 유일한 재산인 주택을 팔아 작은 주택으로 이사를 가고 그 나머지 돈으로 은퇴생활을 유지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작은 주택이 인기가 있고 큰 주택은 폭락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이들이 .. 전문가 칼럼 2011.03.03
인천의 부동산 현장 보고 이원용 송도가 살아야 합니다. 인천의 많은 분들이 향후 인천 집값에 관심이 가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얼마전만해도 송도는 강남을 이길 수 있다라고 자신만만하게 표현 했던시절이 엊그제 같았는데 요즈음 송도를 비롯해 인천분들이 표정이 밝지가 않습니다. 현재 인천의 침체의 근본은 정부의 .. 전문가 칼럼 2011.03.03
특성별 지방부동산 투자전략 박상언 지방도 잘 공략하면 알짜 “10년전에 5층짜리 건물 10억원에 샀는데 지금 팔려고 보니 10억원에도 안팔리고 그나마 4층하고 5층이 임대가 안 나가는데 어떡해 해야 하나요? 그 당시 10억원을 수도권에 투자했어도 이렇게 살지 있을텐테 지금이라도 다른 방법이 없을까요. 대표님? “ 주로 지방에.. 전문가 칼럼 2011.03.03
주택, 매수시기가 다시 돌아 왔습니다. 김인철 마지막 매수시기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세계경제가 인플레와 북부 아프리카와 중동 사태 등으로 다시 공포에 떨고 있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시장도 일정 부분 상승한 이후에 눈치를 보고 있습니다. 과연 지금 주택을 매수하는 것이 정답일까요 아니면 전세나 월세로 계속 버티는 것이 정답일.. 전문가 칼럼 2011.03.03
“고령화 사회의 필수품 중소형 주택이 뜬다” 일러스트=이진영 요즘 시장에 가거나 자동차에 주유할 때면 마음이 편치 않다. 물가는 오르고 주머니는 가벼워졌다. 친구와의 만남이나 각종 모임에서도 2차 가자는 말이 없어졌다. 경제를 보는 시각은 다양하지만 국내외 변수, 지역 특성 등을 고려함이 가장 타당할 것 같다. 먼저 국외변수는 미국과 .. 전문가 칼럼 2011.03.02
고속철도(KTX) 삼성역 연장안에 대한 분석 및 투자 포인트 박상언 중장기적으로 삼성동일대 빌라투자 유망할듯 최근 경기도와 경기개발연구원이 주관하는 GTX포럼에서 고속철도(KTX)를 시설 확대 없이 수서역에서 삼성역까지 연장 운행하고 대규모 복합환승센터 건설을 제안, 투자자들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삼성역 주변은 강남 3개구의 인구와 고용자가 각.. 전문가 칼럼 2011.03.01
전세대란 해법과 내집마련 전략 전은성 1. 현재 다주택자들의 임대차변화 기존 전세값폭등지역(강남,서초,송파,양천구) 다주택자들은 대부분 베이비부머1955년부터 1963년까지 태어난 세대들로 이들이 사회에 진출할 때 소형평수 아파트를 구입하였다.(그당시 대거 수도권에 몰리면서 80년도후반에 부동산가격폭등 되었음) 그들이 사.. 전문가 칼럼 2011.02.26
전세가 상승을 유도하는 정부정책들 박찬식 해법은 시장 활성화 뿐 정부는 지난 2.11일 전월세 안정화 대책을 발표하였다. 그리고 오늘까지 약 2주가 지나갔지만, 정부의 정책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아직까지도 전,월세 불안요인이 꿈틀거리고 있다. 전세가는 수요자가 부담을 느낄 정도로 오른 가격과 비수기를 맞이하여 강보합 또는 상승.. 전문가 칼럼 2011.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