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대재앙의 전주곡 ‘전월세 상한제’ 김부성 시장 대혼란야기...전세프리미엄 폭등과 대재앙 불러올 정책 대재앙으로 가는 전주곡 ‘전월세 상한제’ 현재 한나라당 일각에서 전월세 상한제를 일부분 도입한다는 움직임이 있다. 과연 전세난의 진정한 해결이 아닌 반시장적 정책으로 전세시장에 다시 대혼란을 가중시키려는 이러한 가증.. 전문가 칼럼 2011.03.18
일본대지진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김인만 일본지진의 영향과 전망 일본대지진이 부동산에 미치는 영향 글쓰기에 앞서 일본 지진 피해자 및 가족들께 위로의 말씀을 전하고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일본 지진의 후폭풍이 예상보다 큰 것 같다. 처음 일본 지진소식을 들은 지난 3월 11일에는 그냥 지진이 발생했구나 하는 수준이었는데 시.. 전문가 칼럼 2011.03.18
부동산 시장의 재앙, 전월세 상한제 김인철 단기적으로 전월세가가, 장기적으로 매매가가 폭등할 것입니다. 한나라당이 전월세 상한제를 도입하겠다고 합니다. 게다가 위반시 과징금부과나 형사처벌과 같은 강력한 제재조치를 취하겠다고 합니다.(물론 급등할 경우 지정 지역에만 실시한다고 합니다.) 드디어 정치권이 전,월세가와 매.. 전문가 칼럼 2011.03.17
요즘 부동산시장의 온도는? 윤정웅 전세시장은 95도, 매매시장은 37.5도 요즘 부동산시장의 온도는 몇 도나 될까요? 전세시장의 온도는 이미 펄펄 끓었다가 주춤해졌기 때문에 95도쯤 돼 보입니다마는 매매시장은 홀아비 구들장처럼 싸늘하기만 해서 겨우 사람들의 체온이나 비슷한 37.5도쯤 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입춘(立春)이 .. 전문가 칼럼 2011.03.17
누가 대형아파트가 하락한다고 하는가? 이원용 수급이 관건이다. 한 몇년 대형아파트가 연일 하락한다. 많은 분들이 언론보도를 통해 접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정작 수도권의 중심인 서울은 대형아파트 하락폭이 미비합니다. 큰 틀에서 30평대와 비슷한 가격패턴을 보이고 있습니다. 우선 2006년부터 대형의 약진은 공공택지에 전용 25.7평 이.. 전문가 칼럼 2011.03.16
수도권 VS 지방 이주호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은 극과극을 달린다 오늘날 부동산시장은 수도권과 지방이 극과극을 달리고 있습니다. 지방 1등주 부산이 서울.수도권 1등주 강남권을 앞선다는 것은 2000년대엔 감히 상상도 할 수 없는 일입니다. 그동안 지방 부동산은 서울 강남권에 가려 힘한번 제대로 쓰지 못했지만 20.. 전문가 칼럼 2011.03.16
한,미.일 자산구조파악 및 대비할 점 박상언 국가별 베이비부머들의 자산변동사항 파악 필수 생물들은 죽음과 같은 큰 충격을 받게 된다면 생존본능, 즉 씨를 뿌리고자 하는 원초적인 부분이 많이 작동한다. 시골 출신의 친구의 주장에 의하면 단풍잎이 유독 빨갛게 열리는 날은 분명히 그 해 날씨가 상당히 덥거나 추워, 생존본능이 발휘.. 전문가 칼럼 2011.03.16
정부는 부동산 금융규제를 지속 할수가 없다. 김인철 부동산 금융규제 해제를 연장할것입니다. 정부가 시한이 다가온 부동산 금융규제 해제를 연장할지 아니면 종료할지가 초미의 관심사입니다. 결정사항에 따라 부동산 시장이 많은 영향을 받기때문입니다. 과연 정부가 연장을 할까요 아니면 다시 환원시킬까요? 아마도 정부는 규제 해제를 연.. 전문가 칼럼 2011.03.15
지방부동산은 20여년만에 한풀이 장세를 펼치고 있다 이주호 2010년대는 지방 전성시대이다 요즘 강남권 부동산은 최근 재건축 규제로 거래가 위축되고 있으며 지방과 분당신도시 등은 저평가와 리모델링이란 호재를 안고 전국 부동산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1990~2000년대는 개포 주공 등 강남권재건축과 버블세븐지역이 전국 부동산시장을 주도해 나.. 전문가 칼럼 2011.03.15
부동산 투자지도가 바뀐다 여러 가지 자산 중 우리나라에서는 유독 부동산에 대한 자산 선호도가 높다. 과거 대부분의 부가 토지에서 창출됐고 근래에는 아파트에서 이뤄졌듯이 부동산에 대한 믿음이 크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엔 이런 기류에 변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자산관리의 방향성을 재점검해야 할 때다. 먼저 부동.. 전문가 칼럼 2011.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