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땅 구하기-(10)오지 땅 사기 전에 군부대부터 살펴라 강원도 인제군 상남면에 ‘자포대(自飽垈)’란 특이한 이름을 가진 마을이 있다. 예부터 논이 많아 부자들이 살던 곳으로, 노비와 식구들이 먹을 쌀 뜨물이 5리나 흘렀다고 해 마을 이름을 ‘스스로 배부른 터‘ 즉, 자포대로 지었다는 전설이 전해진다. 병풍처럼 산으로 둘러쌓인 강원도 첩첩산중에 ..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31
[스크랩] 전원주택 구경하기 나름대로 잘 지은 전원주택들입니다. 당신은 어떤 집에서 살고 싶으십니까? 전원주택들은 주변의 자연과 지형에 잘 조화되도록 지어야 하고, 거주의 편리성도 생각하여야 합니다. 집이란 한번 잘 못 지으면 다시 지을 수가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하여 지어야 합니다. 대부분의 하자는 물 때문에 발..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30
[스크랩] 전원생활관련유용한사이트 // 농림식품수산부 농촌진흥청 주간농사정보 풀무 환경농업 전문과정 한국농림수산정보센터 한살림 흙살림연구소 언론 농민신문 농수축산신문 농업인 신문 농업정보신문-월간원예 농업진흥일보 한국농어민신문 농업관련 공공기관 국립종자관리소 남원시 농업기술센터 농수산물유통공사 농업과학..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8
제1부 땅 구하기-(8)땅을 산다구요? 천만에, 지역을 사야지요 전원생활을 준비하는 사람들 중 상당수는 다소 막연하게 시골 땅을 찾는다. 인터넷에 들어가 부동산 정보제공업체 등의 사이트에 올려진 개별 매물을 보고, 해당 중개업자에게 연락한 뒤 현장을 찾아가 살펴보고 마음에 들면 계약을 하고 아니면 포기한다. 또는 친인척이나 주변의 아는 사람을 통해 ..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
[박인호의 전원별곡] 전원생활 프롤로그 바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치열한 삶에서 벗어나 산수가 어우러진 산골 또는 시골에서의 평온한 전원생활을 꿈꾸어본다. 특히 2010년 부터 본격적인 은퇴기에 접어든 712만명에 달하는 1세대 베이비 부머(1955~1963년생)들은 잠깐의 여행이나 휴식이 아니라, 남은 삶, 즉 인생2막을..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
제1부 땅 구하기-(1)내 가족의 보금자리 터, 어디로 갈 것인가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머지 않은 장래에 전원생활을 하겠다는 간절한 소망을 가지고 그 준비에 들어갔다면, 우선 대강적인 자금 조달 계획과 내 가족의 전원 보금자리 터를 과연 어느 지역에 마련할 것인지에 대한 결정을 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는 자금 조달 계획에 집착하다가 중간에 포기하..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
제1부 땅 구하기-(2)꿈의 전원생활, 정부 지원책 잘만 활용하면 앞당길 수 정부는 오는 2013년까지 도시민 7만명이 이주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농어촌 주거단지를 만들기로 하고, 이주 준비단계, 실행단계, 정착단계 등 3단계 지원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 또한 지방의 각 자치단체들도 저마다 다양한 혜택을 내걸고 귀촌 및 귀농인구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이를 잘 활용..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
제1부 땅 구하기-(3)국토면적 현황알기…홍천군이 전국 최고 땅부자 전원생활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우리나라의 국토면적 현황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 정도는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전원주택지로 많이 전용되는 전답과 임야는 여전히 전 국토의 83%를 차지하고 있지만, 점차 대지와 도로로 바뀌면서 감소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별.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시,군,구 가..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
제1부 땅 구하기-(5)시골 땅값의 비밀…‘똠방’만 배불리는 과도한 ‘중개 평소 강원도 전원생활을 꿈꾸며 주말이면 춘천, 홍천, 화천 일대의 전원부지를 찾아다니던 A씨는 최근 시골 땅값에 감춰진 비밀을 알아냈다. 그 비밀이란 통상 공인중개업소에서 제시하는 매물 가격에는 실제 땅 주인이 팔아달라고 내놓은 가격 보다 엄청난 ‘거품’이 끼어있다는 것. 예를 들자면 땅..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
제1부 땅 구하기-(6)내 것이 될 땅은 첫눈에 ‘필’이 꽂힌다 청춘남녀가 만날 때 첫눈에 반했다는 말이 있다. ‘필(feel)’이 꽂혔다는 얘기다. 땅도 마찬가지다. 내 것이 될 땅은 처음 만날 때 느낌이 팍 온다. 나와 땅의 궁합이 맞는다는 것이고, 결국 그게 명당이다. 만약 전원주택용으로 어떤 땅을 처음 봤을 때 남향, 배산임수, 조망 등 객관적인 기준 외에 뭔가.. 전원주택·인테리어 2010.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