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을 준비하는 사람이라면, 우리나라의 국토면적 현황에 대한 개괄적인 정보 정도는 파악해 둘 필요가 있다.
전원주택지로 많이 전용되는 전답과 임야는 여전히 전 국토의 83%를 차지하고 있지만, 점차 대지와 도로로 바뀌면서 감소추세가 이어지고 있다. 특별.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시,군,구 가운데 가장 면적이 넓은 곳은 홍천군이다.
국토해양부가 2010년 지적통계연보 발간을 위해 국토면적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지난 2009년 12월말 기준 국토면적은 총 10만210㎢로 조사됐다.
토지는 임야, 전, 답, 대지 등 28개 지목으로 구분 등록되는데 이중 임야가 6만4472㎢로 전 국토의 64%을 차지하고 있다. 이어 답(畓)이 1만1895㎢로 11%, 전(田)이 7821㎢로 8%로 나타났다. 이 밖에 대지가 2706㎢, 도로 2807㎢, 하천 2837㎢로 각각 약 3%씩을 차지하고 있다.
지난 1980년도를 기준으로 비교해 볼때 전과 답은 계속 감소하는 추세로 2만2099㎢에서 1990년도에 2만1484㎢로 2.7%, 2000년도에 2만507㎢로 7.2%, 2009년도에 1만9716㎢로 10.8%가 감소, 감소폭이 점점 커지고 있다. 임야 또한 1980년도 6만6129㎢에서 1990년도에 6만5571㎢로 0.8%, 2000년도에 6만5139㎢로 1.5%, 2009년도 6만4472㎢로 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http://res.heraldm.com/content/image/2010/12/08/20101208000850_1.jpg)
이에 반해 도로와 대지는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도로는 1980년에 1400㎢에서 1990년에 1812㎢로 29.4%, 2000년도에 2278㎢로 62.7%, 2009년도에 2807㎢ 100.5%로 1980년 보다 2배나 증가했다. 대지는 1980년도에 1721㎢에서 1990년에 1937㎢로 12.6%, 2000년도에 2349㎢로 36.5%, 2009년도에 2705㎢로 57.2%가 늘었다.
현재 우리나라 전 국토의 면적 중 개인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는 5만3767㎢로 54%를 차지하고 있으며 국유지는 2만3891㎢로 24%이다.
16개 광역시.도 가운데서는 경상북도가 1만9029㎢로 전 국토의 19%를 차지, 가장 넓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501㎢로 전국토의 0.5%에 불과해 가장 작다. 특별시·광역시 중에서는 울산광역시가 1058㎢로 가장 넓다.
전국 기초자치단체(시,군,구) 중 면적이 가장 넓은 곳은 홍천군으로 1819㎢에 달했다. 홍천군은 기초자치단체 뿐 아니라 특별시와 광역시를 모두 포함한 전체 시,군,구 가운데서도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홍천군은 태백산맥의 크고 작은 지맥에 둘러싸인 중산간 지역으로, 홍천읍 시가지를 관통하는 북한강 지류인 홍천강이 태백산맥의 분수령으로부터 서쪽으로 흘러 경기도 가평군 설악면에서 북한강과 합류하고 있어 그 유역에 작은 평야를 이루고 있다. 동북쪽으로 인제군과 양양군, 남쪽으로 횡성군과 평창군, 서쪽으로는 경기도 양평군과 북쪽으로 춘천시와 접하고 있다.
홍천군에 이어 인제군이 1621㎢, 안동시 1521㎢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면적이 좁은 기초자치단체는 2.8㎢에 불과한 부산광역시 중구로 조사됐다.
<특별시,광역시,일반시.군-면적 순위>
단위:k㎡
1위: 강원도 홍천군 1,818
2위: 강원도 인제군 1,646
3위: 경상북도 안동시 1,520
4위: 강원도 평창군 1,465
5위: 경상북도 경주시 1,324
6위: 경상북도 상주시 1,255
7위: 강원도 정선군 1,221
8위: 경상북도 봉화군 1,201
9위: 강원도 삼척시 1,186
10위: 경상북도의성군 1,177
<군-면적 순위>
1위 홍천군 1,818
2위 인제군 면적 : 1,646
3위 평창군 면적 : 1,465
4위 정선군 면적 : 1,221
5위 봉화군 면적 : 1,201
<시-면적 순위>
1위 안동시 1,520
2위 경주시 1,324
3위 상주시 1,255
4위 삼척시 1,186
5위 포항시 1,127
6위 춘천시 1,116
7위 강릉시 1,040
8위 김천시 1,010
9위 충주시 984
10위 공주시 941
<특별,광역시-면적 순위>
1위 울산광역시 1,058
2위 인천광역시 965
3위 대구광역시 886
4위 부산광역시 760
5위 서울특별시 606
6위 대전광역시 540
7위 광주광역시 501
(헤럴드경제 객원기자/ 전원&토지 컨설턴트)
'전원주택·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부 땅 구하기-(1)내 가족의 보금자리 터, 어디로 갈 것인가 (0) | 2010.12.23 |
---|---|
제1부 땅 구하기-(2)꿈의 전원생활, 정부 지원책 잘만 활용하면 앞당길 수 (0) | 2010.12.23 |
제1부 땅 구하기-(5)시골 땅값의 비밀…‘똠방’만 배불리는 과도한 ‘중개 (0) | 2010.12.23 |
제1부 땅 구하기-(6)내 것이 될 땅은 첫눈에 ‘필’이 꽂힌다 (0) | 2010.12.23 |
제1부 땅 구하기-(7)턱없이 싼 매물에는 반드시 ‘함정’이 있다 (0) | 2010.1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