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땅 구하기-(27)기획부동산, 아는 만큼 안속는다 기획부동산은 땅 분양 광고와 영업활동을 하면서 두 가지를 노린다. 하나는 전원에 세컨드하우스를 소망하는 소박한 도시민의 꿈이요. 또 하나는 노후대책자금이나 종자돈을 불리기 위해 고민하는 도시민의 재테크 욕구를 자극하는 것이다. 기획부동산의 광고문구나 텔레마케터들의 설명을 들어보..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9
[스크랩] 귀농을 위한 몇 가지 금언 귀농을 위한 몇 가지 금언 귀농을 꿈꾸는 사람들의 그 한결같은 마음을 멋들어지게 노래하고 있는 국민가요 <님과 함께>의 한대목이다. 생각해 보자, 얼마나 멋진 일인가? 사랑하는 님과 함께 소박하게 농사짓고 사는 일이라니! 가던 길 멈추고 상상해 보면, 가슴이 먹먹해지고 눈물이 날 지경이다..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3
[스크랩] 귀농 / 귀촌 준비, 절차_ 5단계 토지사랑 http://cafe.daum.net/tozisarang/ 제1단계 - 귀농정보 수집 ▶ 귀농결심 기계적으로 짜여진 회색빛 도시생활을 벗어나고픈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은퇴 후 농촌에서 자연과 벗하는 삶을 누리고자 하는 의사를 조금이라도 가진 사람이 10명중에 6명 정도인 64.1%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특·광..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3
[스크랩] 택지용도별 전원주택 짓는 법 택지용도별 전원주택 짓는 법 (1) 대지에 전원주택 짓기 대지는 건축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땅이다. 도시지역외에서는 전용면적 60평까지는 신고만으로 건축이 가능하다. 또한 농지나 임야처럼 거래가 까다롭지도 않고 건축면적 제한도 덜 받는다. 그러나 대지는 공급에 한계가 있고 가격 또한 비싸기..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3
제1부 땅 구하기-(26)기획부동산 해부, 그들은 누구인가 요즘은 좀 뜸한 편이지만 나에게 하루가 멀다 하고 전화하는 '아줌마'들이 있다. "어디에 좋은 땅이 나왔으니 빨리 투자해라, 언제까지 월급에만 의존해 살 거냐, 애들 교육과 노후 대비를 위해 땅 투자해서 대박 터뜨려라. 기회는 자주 오지 않는다." 요약하자면 이렇다. 이른바 기획부동산 텔레마케터..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0
제1부 땅 구하기-(25)죽어있는 땅, 맹지를 살려내는 기술 도로가 없어 ‘죽어있는 땅’으로 불리는 맹지를 살아있는 땅, 가치 있는 땅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진입로를 내야 한다. 그래야 건축이 가능하다. 어떤 방법이 있을까. 먼저 맹지와 연결되는 현황도로가 있는 경우다. 현황도로란 지적 상으로는 도로가 아니지만 실제는 현재 도로로 사용되고 있는 길을..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0
제1부 땅 구하기-(24)맹지는 안된다구? 천만에, 발상을 바꿔라 토지 전문가들과 토지투자 관련 서적에서 자주 강조하는 땅 투자원칙 중 하나가 바로 ‘맹지를 피하라’이다. 맹지란 길(도로)과 연결되지 않은 ‘고립된’ 땅으로, 그 자체로는 건축허가가 나지 않는다. 그런데 전국의 시골 땅 가운데 상당수는 길이 없는 맹지다. 당연히 맹지의 가격은 도로와 접해..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0
제1부 땅 구하기-(23)땅테크 최고수는 전문꾼 아닌 시골농부? 일상에 쫓기는 일반인들에게 부동산 투자, 그 중에서도 돈과 시간을 필요로 하는 땅테크는 매우 낯선 분야다. 그래서 때론 전문가 투자 설명회에 가기도 하고 관련 재테크 책을 사서 열심히 읽기도 하지만 ‘투자 나침반’을 얻기란 쉽지 않다. 나름 열심히 이론 공부를 했더라도 막상 현장에 가서 땅..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20
제1부 땅 구하기-(22)전원주택단지내 땅 매입시 체크 포인트 전원주택지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하나는 매입해서 바로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이고, 다른 하나는 허가나 신고 절차를 거쳐야 건축이 가능한 조건이 붙은 땅이다. 매입해서 바로 집을 지을 수 있는 땅은 지목이 대(垈)이거나, 전원주택단지로 택지를 개발해 놓은 것 등이다. 대지는 건축물을 짓도..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14
[스크랩] 600만원에 18평짜리 아담한 전원주택 짓기 600만원에 18평짜리 아담한 전원주택 짓기 사람들은 전원주택하면 대개 30평 정도의 크기를 생각한다. 하지만 이화종 씨는 시골에서 전원생활을 하는데 넓은 집은 필요 없다고 말한다. 널널한 거실에 명절이나 생일날 찾아오는 자식들을 위해 방을 더 만 들어 놓으면 결국 방이 잡동사니 창고가 되거나 .. 전원주택·인테리어 2011.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