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포인트레슨] 거래량 변화에 주목하라 부동산 시장 참여자들은 모두 시장 변화에 대해 고민한다. 매도자들은 시장 상황이 좋지 않은 시기에 가장 낮은 가격으로 매도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불안감이 있다. 반대로 매수자들은 지금 사는 것이 상투를 잡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갖고 있다. 시장 참여자들이 이러한 불안감과 희망을 떨.. 전문가 칼럼 2010.12.13
잘 파는 부동산, 3가지만 기억하라! 부동산 파는 데도 전략이 필요하다! 부동산투자를 잘하려면 부동산을 사는 것 못지 않게 파는 것도 잘 해야 한다. 부동산을 살 때 여러가지 면을 고려하여 사듯이, 팔 때도 전략이 필요하다. 대개 팔 때는 치밀하게 판단하여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각 개인의 사정에 따라서 갑자기 결정하여 팔아 버리.. 전문가 칼럼 2010.12.13
부동산에 물웅덩이 이론? 박원갑 부동산은 일종의 입지상품(Positional goods)이라고 한다. 입지에 따라 가격이 천차만별이다. 부동산의 특성인 부증성(不增性), 부동성(不動性), 그리고 제품 자체의 비표준화⋅비규격화(이질성) 때문이다. 특히 상업용 부동산이나 토지의 가치는 사실상 입지가 결정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전문가 칼럼 2010.12.11
2010년대는 지방이 대세다 이주호 2000년대는 서울 및 수도권, 2010년대는 지방이 대세다 2000년대는 IMF 직후 국가경제가 전반적으로 취약한 상태에서 김대중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따라 서울 강남권이 주도하는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의 대세가 있었습니다. 그후 2005년 하반기~2007년 큰 수출호경기 뒤에 나타나는 큰 내수호경기 도.. 전문가 칼럼 2010.12.10
알짜 급매물 잡는 비법 급매물 의미와 중요한 요소 최근 전세가상승과 입주물량부족이 맞물리면서 바닥이라는 인식이 커지면서 거래가 늘어나고 있다.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강남권 재건축이 먼저 움직이고 있고, 그동안 하락폭이 컸던 버블세븐지역 급매물이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아직은 시세보다 저렴한 급매물 위주.. 전문가 칼럼 2010.12.10
집권 4년차 징크스, 2011년 집값 폭등? 이명박정부가 2011년이면 집권 4년차를 맞습니다. 1990년대 이후 역대 정부 집값이 집권 4년차마다 크게 올라 2001년에도 똑같은 전철(?)을 밟을지 관심이 쏠리지 않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번 주 닥터아파트(www.DrApt.com) 오윤섭의 부자노트에서는 역대 정부에서 왜 집권 4년차에 집값이 급등했는지를 살.. 전문가 칼럼 2010.12.09
2011년 주택시장 전망 2010년은 거시경제의 본격적인 회복에도 불구하고, 부동산경기가 지속적인 침체상태를 보였다. 4월 이후 수도권의 아파트 가격은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고, 거래량도 실거래신고 기준으로 3만호 수준을 8월까지 벗어나지 못했다. 이에 따라 8월 29일 수도권DTI규제 완화, 세제감면 연장, 보금자리 사전.. 전문가 칼럼 2010.12.09
최근의 전세사기 사건 보도를 보면서 최광석 월세로 임차하는 척하면서 임대인의 신분증 등의 정보를 취득하고 해당 집에 거주까지하는 것을 기화로 마치 자신이 집주인인 척 하면서 해당 물건을 전세로 내놓고서 보증금을 가로채는 사기범행이 끓이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아예 이런 사기범 일당이 부동산중개업소를 차려놓고서 조직.. 전문가 칼럼 2010.12.09
안정적 투자자 vs. 모험적 투자자 부동산 투자자를 그 성향에 따라 두 가지로 분류한다면 안정(지향)적 투자자와 모험(지향)적 투자자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안정적 투자자와 모험적 투자자의 투자성향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해보자. 두 투자자의 성향은 우선 수익을 추구하는 방법적인 면에서나 투자물건.. 전문가 칼럼 2010.12.09
언제까지 부동산을 사라고만 할 것인가? 노철오 엊그제 고객분으로부터 한통의 전화를 받았습니다. 본인의 자산 상태는 어떠하고, 그래서 부동산을 신규로 갈아타는 것이 맞는지, 아니면 금융자산으로 분산시켜야 맞는 지 궁금하다고 하셨습니다. 그러한 고객분의 표현은 지극히 당연한 것입니다. 다만, 그 다음에 언급하신 내용은 부동산업.. 전문가 칼럼 2010.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