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모델링아파트 과연 부활인가 몰락인가? 전은성 재건축으로 추진하는것이 옳다. 리모델링아파트 과연 부활인가 몰락인가? 수도권의 1기신도시들은 대부분 재건축년한을 기다리기에는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기간이 너무 많이 남아있고 따라서 현행 재건축이 시행될수있는 노후도기준 즉 아파트내용년수와 실제 노후도의 심각성을 .. 전문가 칼럼 2010.10.08
가을 상가분양 성수기, 서울 역세권 상가 주목 장경철 역세권에 집객요소 갖췄다면 금상첨화 가을 분양 성수기에 접어들면서 서울 역세권에 대규모 상가들이 본격적으로 분양에 나서고 있다. 서울은 면적은 국토의 0.6%에 불과하지만 대한민국 GDP의 약 20%를 창출하는 최대 생산의 중심지이자 소비지다. 상가투자에서 최적의 입지는 역시 역세권이.. 전문가 칼럼 2010.10.08
주택시장 불황으로 주거 트렌드 바뀐다 주택시장 침체가 깊어지면서 구조적인 환경 변화가 예상된다. 주택 보급률이 101%를 넘은 상황에서 장기적인 하락 추세까지는 아니더라도 과거처럼 높은 상승 탄력성은 기대하기 어렵다. 주택 소비 기본단위인 개별가구 특성에 따라 주거 수요가 다양해져 차별된 주택 공급이 필요한 시점이다. 고령화.. 전문가 칼럼 2010.10.08
지방 꼴찌도시 대구, 광주의 부동산도 오르기 시작하는가? 이주호 지방 후발도시 대구, 광주로 까지 부동산 가격 상승이 확산되고 있다 대구하면 과거에는 서울, 부산 다음으로 큰 도시였는데 작금의 지방 부동산시장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대구는 인천, 울산, 대전에 밀려 현재 지방도시 중 꼴찌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천국제공항건설 등 서해안 시.. 전문가 칼럼 2010.10.08
주상복합의 시대는 가는가? 김인철 경제가 살아나면 다시 회복할것입니다. 주상복합이 찬밥 신세를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경매시장에서도 찬밥이고 거래 시장에서도 찬밥입니다. 이에따라 당연히 시세가 하락을 면치 못하고 있습니다. 그동안 승승장구하던 주상복합에 찬바람이 부는 이유를 알아 보았습니다. 첫째 투자자가 .. 전문가 칼럼 2010.10.08
집값은 언제 반등할까? 최근 집값 하락세가 그동안 주택공급물량이 너무 많았기 때문이라는 지적이 있습니다. 이는 국지적으로 맞는 얘기일수 있겠지만 수도권 전체로 놓고 보면 틀린 말입니다. 이번 주 닥터아파트(www.DrApt.com) 오윤섭의 부자노트에서는 2006년 이후 수도권 주택시장을 수급(需給) 측면에서 들여다보고 언제 .. 전문가 칼럼 2010.10.07
부동산 시장 어디로 갈것인가? 김인철 지루한 장세가 이어진다. 추세란 돈과 심리의 합입니다. 따라서 돈과 심리가 같은 방향으로 가면 추세가 결정되어 나아가고 돈과 심리가 다른 방향으로 가면 지지부진한 상황이 이어질것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이 많은 나라들이 돈을 풀기로 결정하였습니다. 게다가 일본은 금리까지 다.. 전문가 칼럼 2010.10.07
베이비부머, 노후준비 어디까지 왔는가? 선종필 한국형 베이비부머들의 경우 주택에 대한 자가보유 열망이 높으며, 부동산 불패신화에 익숙해 부동산 중에서도 높은 수익율을 보여주었던 아파트에 대한 상품적 인식이 우수한 편이다. 즉 베이비부머들에게 저축이나 주식 등은 아파트 등 주택을 소유하려는 과정이었을 뿐 궁극적인 투자의 .. 전문가 칼럼 2010.10.06
‘전세가 상승=매매가 상승’이 아직 이른 이유 전세난이 지난 몇 주째 화두다. 8.29대책이 발표됐지만 거래는 살아나지 않고 8주 연속 전세가만 상승한데다가 지난주에는 수도권 전세가가 올해 들어 가장 큰 폭(0.16%)으로 상승해 서민들 걱정이 이만저만 아닌 탓이다. 대개 전세가 상승세가 가파르면 전세수요 일부가 매매수요로 전환되면서 거래가 .. 전문가 칼럼 2010.10.05
지방 부동산은 소리소문없이 오르고 있다 이주호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 대세는 2012~2013년 이후에나 서울 및 수도권 부동산은 하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데 지방 부동산은 소리소문없이 오르고 있습니다. 흔히들 지방은 인구가 감소하여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수 없다고 하는데 악재와 호재는 영원한 것이 아니고 악재와 호재는 때에 따라 악.. 전문가 칼럼 201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