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웅]집값 4중고(四重苦)걱정마라. 2년 후에는 집값 또 오른다. 부동산은 천연적인 자원과 인위적인 자원으로 결합된 고가의 상품이다. 천연적인 땅만 있어도 제 구실을 할 수 없고, 인위적인 자원만으로는 터전이 없어 건물을 세울 수 없다. 따라서 부동산 = 천연자원 + 인위자원이다. 특히 천연자원은 무한정이 될 수 없다... 전문가 칼럼 2018.04.13
[이주호]용인 집값 살아나나 올 2월부터 상승세로 돌아서 용인은 한때 집값이 폭등하여 명성을 날린 지역으로 버블세븐지역의 한군데로 불리었다. 버블세븐지역이란? 부동산 가격이 폭등하던 2006년 무렵에 아파트값이 가장 많이 오른 일곱 지역. 서울의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양천구 목동, 경기도의 용인시, 분당 .. 전문가 칼럼 2018.04.13
[전문가 칼럼]한강변 15층 아파트를 주목하라 올 들어 3월 현재까지 수도권에서 아파트 매매가격이 가장 많이 상승한 지역은 분당(7.00%)과 과천(5.83%)이다. 분당은 서울의 송파구(6.90%)보다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분당과 과천지역의 아파트시장 강세는 지난해 말과 올해 초 강남지역의 아파트 매매가격이 대폭 오른 덕분이다. 서울과 인.. 전문가 칼럼 2018.04.04
[윤정웅]부동산잔칫집 평택 엿보기 또 평택이다 건강하게 오래 살려면 우유를 마시는 사람보다 우유를 배달하는 사람이 되라고 했다. 부동산투자도 부동산에 대해 일평생 공부만 하는 사람보다는 작은 집 한 채나, 작은 땅뙈기 하나라도 사보거나 팔아본 사람이라야 부자가 될 수 있고, 고수가 될 수 있다. 이 세상에는 입.. 전문가 칼럼 2018.04.04
[김인만]국토부 '셀프디스', 셀프 모순이다 일관성있고 신뢰 주는 정책 필요 국토교통부 관행혁신위원회가 박근혜 정권에서 펼쳐진 부동산 경기 부양 정책에 대해 ‘빚 내서 집 사'라는 식의 부적절한 정책이었다고 규정해서 논란이 되고 있다. 스스로 과거에 했던 일에 대해 자아비판을 하는 이런 국토부의 '셀프 디스'(self disrespec.. 전문가 칼럼 2018.04.04
[윤정웅]급변하는 부동산시장, 돈되는 부동산은? 격변기 부동산 투자전략 문재인ㆍ트럼프ㆍ김정은의 평화 무드가 급속도로 진전되고 있다. 김정은이 핵을 포기하고 자유경제체제에 합류한다면 세상이 인정하는 젊은 지도자가 될 것이고, 문재인 대통령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평화의 전령사가 되리라.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게 세상.. 전문가 칼럼 2018.04.04
[박상언]부자들의 적절한 소비가 바닥경기 살게한다 -저축의 역설 위험성 -자기존중 소비도 필요 좋은 집에 살면서 친구 왔는데 커피도 한잔도 안사고 친구에게 부담지울려고 하면서 그뤳!그렛 ! 외치는게 진정한 삶이라 할수 있는지 의문이다 마트도 저녁 10시 이후에만 다니고 몇 년째 똑 같은 옷 입고 머리도 1년에 한번씩만 하면서 해외.. 전문가 칼럼 2018.04.04
[오은석]금리인상기에 피해야할 부동산, 사야할 부동산은? 금리가 인상되면, 예금금리 뿐만 아니라, 대출금리도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는 부동산 투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다. 지난 3월 21일 미국이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하며, 한미금리 역전이 현실화 되었다. 미국 금리 인상 횟수가 올해 추가적으로 4차례가 더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전문가 칼럼 2018.04.04
[윤정웅]부동산운(運)과 기회의 차이 기회와 운은 나와 함께 있다. 어느 게으른 사람이 나이 80세가 되도록 집 한 칸 없이 가난하게 살다가 죽어서 염라대왕 앞에 갔다. 염라대왕은 죽은 사람의 이력을 이것, 저것 조사하더니 기가 막힌 듯이 호통을 쳤다. ‘아니 너는 어찌 살았기에 죽을 때까지 집 한 칸, 땅 한 조각, 돈 한 푼.. 전문가 칼럼 2018.03.29
[김인만]서울에서 집사기 어려워졌나? 서울주택시장 지나친 낙관은 주의가 필요하다 최근 서울아파트가격이 크게 상승한 반면 전세가격은 주춤하고 대출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하면서 집 사기 어려워졌다는 말을 많이 한다. 그냥 그렇게 느껴지는 것인지 사실이 그런 것인지 주택구입부담지수 조사결과를 보면서 한번 판단.. 전문가 칼럼 2018.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