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억개 일자리 곧 사라져…가상현실·3D프린터 등 新산업 서둘러라" 창간 50주년 - 글로벌 인재포럼2014 (11월4~6일) 인터뷰 - 구글이 선정한 최고의 미래학자 토마스 프레이 청년창업 활성화하려면 인센티브도 좋지만 창작공간부터 지원을 한국경제 활력 찾으려면 새로운 인프라 기술 개발해 다른 나라 선도해야 “2030년까지 전 세계에서 20억개의 일자리가 사.. 유용한 글 2014.09.02
[이영권]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 '하늘은 스스로 돕는자를 돕는다.'는 말을 믿으십니까? 저도 젊었을 때는 굉장히 의구심이 많이 가는 얘기였습니다. 하나님이나 부처님이 하늘에서 내려와서 도와준다고 어린아이처럼 생각해본 적도 있습니다. 그런데 나이를 먹고 사회생활을 하면서 '참 진리다. 하늘은 정말 스스로 돕.. 유용한 글 2014.09.02
인생에서 꼭 필요한 다섯 가지 끈 사람은 끈을 따라 태어나고 끈을 따라 맺어지고 끈이 다하면 끊어진다. 끈은 길이요. 연결망이다. 좋은 끈이 좋은 인맥, 좋은 사람을 만든다. 첫째 "매끈" 까칠한 사람이 되지마라. 보기 좋은 떡이 먹기좋고, 모난 돌은 정 맞기 쉽다. 세련되게 입고 밝게 웃고 자신감 넘치는 태도로 매너있.. 유용한 글 2014.08.31
패러독스(역설) 리더십 서울대에 진학하는 강남구 학생의 비율이 강북구 학생보다 21배나 차이가 난다고 한다. 또 서울 지역 외국어고·과학고의 서울대 합격률은 일반고의 15∼65배에 달한다는 분석이다. (서울대 경제학부 김세직 교수의 논문 `경제성장과 교육의 공정경쟁`). 이는 다시 말해 과거처럼 ‘개천에.. 유용한 글 2014.08.29
'식초' 먹는법 따로 있다 식초가 몸에 좋은 건 널리 알려진 상식. 그러나 식초의 강한 신맛 때문에 먹기를 주저하는 사람들이 많다. 몸에 좋으면 입에 쓴 법. 먹기 불편하다고 해서 여름철 살균, 피로 해소, 비만 방지, 콜레스테롤 저하 등 식초의 신통한 효과를 놓칠 순 없다. 요즘 초콩, 초란이 유행하고 식초 관련 .. 유용한 글 2014.08.29
정보 과다의 시대, 머릿속 정리법 10가지 ‘뇌의 왈츠(This is Your Brain on Music),’ ‘호모 무지쿠스(The World in Six Songs)’ 등의 베스트셀러를 저술한 신경과학자 대니얼 레비틴이 정리 문제에 눈을 돌렸다. 그의 새로운 논픽션 책 ‘정보 과다의 시대에 머릿속 정리하기(가제, The Organized Mind: Thinking Straight in the Age of Information Overload)’.. 유용한 글 2014.08.23
세계 최고령 남성처럼 장수하려면 '이것' 드세요 일본인 모모이 사카리씨가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A%B8%B0%EB%84%A4%EC%8A%A4%EB%B6%81&nil_profile=newskwd&nil_id=v20140822102306851" target=new>기네스북에 세계 최고령 남성으로 올랐다. 111세다. 이전까지 세계 최고령 남성은 모모이 씨보다 하루 일찍 태어난 폴란드계 미국인 .. 유용한 글 2014.08.23
하나둘 리더십 주말이면 서울 도심의 산을 자주 찾는다. 친한 친구나 회사 동료 한 두 명과 함께 가벼운 얘기를 나누면서 천천히 오른다. 간혹 서로 일정이 맞지 않아 동반자가 없을 땐 혼자서 나무와 새, 다람쥐를 벗 삼으며 천천히 발걸음을 옮긴다. 누구나 그렇듯이 높은 산에 오르려면 적지 않은 부담.. 유용한 글 2014.08.22
[김인수 기자의 사람이니까 경영이다] Why에서 출발하라, 이순신의 리더십 최근 대박을 치고 있는 영화 `명량`의 한 장면에서 그만 웃음이 나올 뻔 했다. 영화에서 가장 핵심적인 장면인데, 웃음이라니. 영화를 보는 도중에 이순신 장군에게 미안한 마음이 들었다. 그러나 영화가 끝난 뒤 관객과 대화하는 시간을 가진 김한민 감독의 얘기를 들으면서 미안함은 수.. 유용한 글 2014.08.21
[이영권]자신을 평가할 수 있는 사람은 자신뿐이다 제가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고 제일 마음 아픈 것이 학기말이 되면 점수를 줘야 합니다. 요즘은 절대평가가 아니라 상대평가라서 제 강의를 듣는 사람이 100명이라면 그 중에 20명만 A+, 그중 10명은 A, 나머지 30명은 B+ 이런 식으로 비율이 결정되어 있습니다. 이 비율을 넘으면 컴퓨터에 입.. 유용한 글 2014.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