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경기도, 2020년까지 경기만에 약 6조 투자 경기도, 2020년까지 경기만에 약 6조 투자 김기옥 2010.12.28 133 경기도, 2020년까지 경기만에 약 6조 투자 28일 국토부 서해안권 발전 종합계획의 세부안인 ‘경기도 서해안권 발전 종합계획’ 발표 항공산업단지, 해양산업단지, 그린밸리 조성 등 36개 사업계획 마련 김문수 지사, “경기도 서해안, 국가 전.. 토지(지역)자료 2010.12.29
풍납동ㆍ종묘 주변, 경주ㆍ공주 등 혜택 볼 듯 용적률 거래제 도입하면 팔아서 좋다 우선 문화재보호구역 등 제한…판 돈으로 주민에 '규제 보상' 사서 좋다 용적률 10%P만 올라가도 사업 이익 4% 더 나올수 있어 도시개발사업 탄력 받을 듯 < 풍납토성 주변 > 각종 건축규제가 많은 문화재 보호구역의 주민들이 쓰지 못하고 남은 용적률을 팔아 손.. 토지(지역)자료 2010.12.28
스마트폰으로 도로·하천 정보 한눈에 2011년 공간정보사업 3200억 투입 국토해양부는 국가공간정보위원회 심의를 거쳐 내년 국가 공간정보 인프라 구축에 올해보다 419억원 늘어난 3256억원을 투자키로 확정했다고 26일 발표했다. 국토부는 공간정보 인프라의 활용 체계 구축 · 운영,사용자 접근 강화 등 공간정보 활용을 지원하는 분야에 .. 토지(지역)자료 2010.12.28
[2011 국토부]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추진 본격화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27일 국토해양부는 '2011년 업무계획 보고'에서 30분대에 도심을 접근할 수 있는 광역철도망을 구축하기 위해 광역철도 지정·고시와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사업추진을 본격화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재 85%의 공정률.. 토지(지역)자료 2010.12.28
`4대강 뉴타운`..여주, 대구, 구미, 충주호 유력 - 국토연구원 조감도..이포보, 달성보 등 지역 유사 4대강 친수구역 개발법이 이달 말 공포될 예정인 가운데 대상 입지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일단 경기도 여주, 대구, 경북 구미, 충북 충주호 주변 등이 유력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는 국토연구원의 기초 용역자료 중 김진애 의원실을 통해 공개된 .. 토지(지역)자료 2010.12.23
[스크랩] 친수구역시대..이제 열린다. 친수구역법 국무회의 통과 내년 4월 시행, 단기적 투자비회수로 접근하면 必敗 지적 4대강 살리기 사업의 최대 이슈였던 `친수구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하 친수구역법)이 국무회의를 통과, 내년 4월부터 시행된다. 친수구역법은 8조원에 달하는 한국수자원공사의 사업비를 보전하기 위한 특혜라는 .. 토지(지역)자료 2010.12.22
1억 짜리 땅이 석달만에 10억 대박... 그 비결 < 김수한 기자 @soohank2 > 서울 용산구에 사는 L씨는 지난 9월 이천시 부발읍 일대에 땅을 샀다가 3개월 만인 지난 주에 투자금 대비 10배 가까운 수익을 올렸다. L씨는 지난 18일 아침 일찍 토지 등기업무에 필요한 서류 업무를 마무리하기 위해 경기도 이천시 안흥동에 있는 한 법무사 사무실을 찾았.. 토지(지역)자료 2010.12.22
여의도 면적 141배 논·밭 도시민도 사고 팔 수 있어 여의도 면적의 141배에 달하는 논·밭을 농사를 안 짓는 도시민도 살 수 있게 됐다. 이제까지 농지는 '경자유전(耕者有田)'의 원칙에 따라 실제 경작하는 농민만 소유할 수 있었지만, 지난달 5일부터 정부가 경사도 15% 이상이고 면적이 2ha 미만인 논·밭을 '영농 불리(不利) 농지'로 지정해 누구나 사고.. 토지(지역)자료 2010.12.21
[스크랩] `토지시장의 빅뱅` 연접개발제한제도 폐지 ‘토지시장의 빅뱅’ 연접개발제한제도 폐지 2003년 1월 1일 도입되어 약 8년간 토지시장의 개발행위허가를 규제하는 대표적인 제도로 군림해왔던 연접개발제한 제도가 2011년 3월 1일부터 전격적으로 폐지가 된다. 그러나, 시·군에 따라서는 최대 2년 까지 현행제도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여.. 토지(지역)자료 2010.12.21
[스크랩]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등 규제 완화에서 찿는 부동산 투자 - 잔치판을 벌려 주면 실컷 먹고 즐겨라 부동산 투자 격언 중에는 정부 정책에 역행하라( 정부 정책의 반대로만 해라)는 말도 있고 정부 정책에 순응하라는 말도 있습니다 정말로 일반 투자자로서는 종잡을수 없는 말들입니다 둘다 맞는말이기도하고 둘다 틀린 말이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규제를 강화할때는 다소 들어주면서 틈새를 .. 토지(지역)자료 2010.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