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가 경매투자의 최적기인가? 도기안 2010/09/14 00:00 투자상담을 하다보면 간혹 이런 질문을 받게 된다. 언제쯤 투자를 하면 가장 고수익을 남길 수 있을까? 독자여러분도 궁금해 하는 질문이 아닐까 싶다. 그리고 경매컨설팅을 하는 분들의 입장에서도 이런 질문을 받아 보았을 것이다. 간단히 생각을 해보면 대세적으로 부동산 경기.. 전문가 칼럼 2010.09.14
부동산시장의 미래를 알고싶다! 고현철 2010/09/13 00:00 새로운 트랜드를 간파하라 우리나라 부동산 시장은 수요 감소추세가 이어질 수 밖에 없는 환경을 갖고 있다. 그러나 도심지역의 소형 임대시장은 크게 확대되어 나가는 추세이다. 특히 해외부동산 투자가 완전 개방되면서 국내 부동산 규제는 결국 해외 부동산 투자로 내모는 결.. 전문가 칼럼 2010.09.13
코스피지수가 1800을 뚫었다 그럼 부동산은? 이주호 2010/09/13 코스피지수 1800포인트 돌파로 본격적인 실물경제 회복이 예상된다 작년 9월 이후 코스피지수는 1700~1800포인트 벽에 몇번이나 부딪히곤 했는데 드디어 9월 10일(금요일)날 1800포인트를 돌파했습니다. 이 코스피지수 1800포인트의 돌파로 비로소 실물경제가 회복국면에 진입하게 되는걸로 .. 전문가 칼럼 2010.09.13
투자의 새로운 패러다임 신축개발 이지영 2010.09.10 시중 부동자금이 넘쳐 난다고 하지만 막상 주변의 많은 투자자들이 자금을 운용할 만한 마땅한 투자처를 찾지 못하여 고민하고 있는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금리가 올랐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저금리 기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시중 예금 금리는 자금을 묻어두기에는 지독히도 매력적이.. 전문가 칼럼 2010.09.11
소액투자는 얼마부터 할 수 있나 장인석 2010.09.08 일전에 ‘재건축-재개발 소액투자의 요령’이란 제목으로 특강을 진행한다고 홍보했을 때 어떤 중년 부인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적이 있다. “소액투자라면 금액이 얼마나 되나요?” “글쎄요. 적게는 3,000만 원부터 많게는 1억 원까지?” “아니, 1억 원이 소액이에요? 3,000만 원도 거액.. 전문가 칼럼 2010.09.11
집 없는 부자는 대한민국에 없다! 2010/09/10 하우스 푸어보다 집없는 전세푸어가 더 위험해 하우스 푸어론(論)을 퍼뜨리는 사람들은 더 이상 집값이 오르지 않으니 집이나 부동산을 죄다 집어던지고 전세나 월세로 살라고 강요하기 일쑤다. 집가진 거지로 살기보다 집없는 부자로 살라는 것이다. 그런데 거짓말도 이런 거짓말은 없다. 대.. 전문가 칼럼 2010.09.11
"부동산 시대 끝? 지금은 침체기일 뿐"| 2010.09.10. 07:47 박원갑 스피드뱅크 부동산연구소장 "버블 붕괴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말이 아닙니다. 단순히 인구 감소로만 판단할 것이 아니라 수요와 공급, 금리, 정부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최근 '부동산 미래쇼크'란 책을 출간해 화제를 모으고 있는 박원갑 스피드뱅크 부동산연구.. 전문가 칼럼 2010.09.11
수도권과 부동산의 상관관계, 수도권은 어디까지 인가? 이주호 2010/09/09 도시계획전문가들은 향후 수도권을 충북 오송까지로 보고 있다. 종전에는 수도권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는 천안시까지 보곤했는데 일부 도시계획전문가들은 향후 수도권이 경부.호남KTX 분기역인 오송역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천안삼거리로 불리우.. 전문가 칼럼 2010.09.10
[윤정웅] 주택시장은 지금 지뢰밭과 꽃밭 2010.09.10. 10:06 누구는 떨고 있고 누구는 웃고 있는가?- 지난 2009.10. 대출규제(DTI)확대시행 이후 2010.6.까지 9개월 동안 수도권 아파트의 시가가 약 30조원 증발했다고 하더군요. 즉, 수도권 집값 하락으로 인해 서민들의 재산이 감소되었는데 그 돈이 무려 30조원이라는 뜻이지요. 돈이 불어도 시원치 않을 .. 전문가 칼럼 2010.09.10
중산층의 부동산 자산가 따라잡기 조현수 2010/09/07 09:57 중산층의 기준은 여러가지로 구분하긴 하지만 모호한 것이 사실이다. 본인이 중산층이냐는 질문에 대한 설문조사를 보면 본인이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부류가 IMF이후 매우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설 곳을 잃고 내 몰리고 있는 우리나라의 중산층도 자산가가 될 수 있.. 전문가 칼럼 2010.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