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엔 우울한 3월이다. 2개월 연속 주택가격이 떨어졌다. 교육 목적의 이동수요 등이 만든 ‘3월=성수기’란 공식은 깨졌다. 거래량이 줄어든 결과다.
31일 한국감정원의 3월 전국 주택가격동향 자료를 보면 전국의 주택 평균가격은 2억4609만원으로 지난달(2억4611만원) 대비 소폭 하락했다. 올해 첫달에 2억4619만원을 기록한 데 이어 2개월 연속 떨어진 것이다.
매매가격의 약세가 2개월 연속 지속되는 건 평년과 비교해서 다른 점이다. 지난해 1월 2억3165만원으로 출발한 평균 주택가격은 3월까지 오름세를 보였다. 2014년 이 기간도 마찬가지였다.
![이사 수요로 인한 거래가 늘어나는 3월이 되어서도 좀처럼 주택시장엔 온기가 돌지 않고 있다. 사진은아파트 단지 모습 [사진=헤럴드경제DB]](http://t1.daumcdn.net/news/201603/31/ned/20160331084603249shau.jpg)
▷서울의 평균 매매가는 4억6701만원 ▷수도권 3억3410만원 ▷지방권 1억6652만원 등으로 대부분의 지역서도 3월로 접어들어 평균 매매가가 떨어졌다.
특히 주택시장에서 가장 큰 파이를 차지하는 아파트가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지난해 큰 폭으로 가격이 오른 고가 중대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3월 주택유형별 매매가 변동률은 아파트 -0.03%, 연립주택 0.00%, 단독주택 0.06%로 아파트가 하락세를 이끌었다. 특히 5대 광역시의 아파트값 변동률은 -0.04%, 지방 전체의 아파트 변동률은 -0.06%으로 도드라졌다.
아파트는 최근 수년 새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시장의 수요자들이 거부반응을 보인 결과로 분석된다. 실제 서울시 집계에 따르면 이달 주택 매매거래량은 2만여건으로 작년 같은 달 대비 40% 정도 떨어졌다. 특히 아파트는 1년 전보다 거래량이 50% 넘게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http://t1.daumcdn.net/news/201603/31/ned/20160331084603442nrsg.jpg)
박합수 KB국민은행 도곡스타PB센터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최근 3년 가까이 상승일로였기에 부쩍 오른 가격에 매수자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상당 지역에서 전고점에 다다른 수준이다. 쉬어갈 시점이 된 것”이라고 말했다.
더구나 작년에 매매거래 상승에 이바지했던 재건축 이주수요 등 이동 수요가 올해는 줄어든 것도 악영향을 줬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3~5월 서울지역 재건축 이주 가구수는 3130가구로 지난해보다 36% 가량 줄었다. 그러면서 인근 지역의 전세ㆍ매매시장에서 매물 부족을 촉발시켰던 지난해 이맘때쯤의 상황도 나오지 않고 있다.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남 재건축 '기지개'?..개포 재건축 일제히 가격↑ (0) | 2016.04.02 |
---|---|
전국 아파트값 7주연속 '뚝뚝'..전셋값은 '쑥쑥' (0) | 2016.04.01 |
3월 전국 집값 '보합'.. 전세는 43개월 연속 상승 (0) | 2016.03.31 |
봄 이사철인데 신도시 아파트 전세 하락..서울도 0.03% 상승 그쳐 (0) | 2016.03.28 |
서울 아파트 값 3주 연속 소폭 상승.. 전세는 0.03% 올라 (0) | 2016.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