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뉴스

해리 던트가 쓴 '인구절벽(Demographic cliff)' [장용동大기자의 아침편지]

웃는얼굴로1 2015. 7. 1. 07:24

* 해리 던트가 쓴 '인구절벽(Demographic cliff)'
>> 부동산 시장이 지난 2008년 10년 주기설에 따라 위기... 오는 2018년 또 인구절벽에 따라 장기침체 접어들 것이라는 게 그의 주장. 완전히 일치하지 않는다 해도 한번 읽어보면 투자에는 도움될 듯.
>> 인구통계학적 이론을 주로 저자가 사용하는 한계가 있지만, 부동산 자산 핵심계층(45~49세)이 얼마나 두터우냐에 따라 부동산 가격이 결정된다는 것은 나름 의미.
>> 2010년 후 증시 장기침체론과 세계 경제 대공항론을 펼쳐 주목받은 적이 있는데.. 2010년 이후 베이부부머 은퇴... 그리고 1970년 중반 이후의 에코세대가 자산 계층 편입되는 2020년까지 다시 침체된다는 게 그의 주장.
>> 이렇게 보면 한국부동산 2018년부터 장기침체 불가피....
>> 하지만 그의 이론이 미국 중심인데다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신흥국들의 위상을 과소평가.
>> 또 선진국 금융, 신흥국 인력이 결합하면 얼마든지 세계경제를 밝게 볼 수 있으며 통화정책 역시 중국 등 다변화체제로 변하고 있어 단순히 미국중심의 인구통계학적 이론은 들어맞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
>> 더 염두에 두어야할 것은 부동산 장기침체론을 주장하는 많은 사람들이 증시나 금융분야에 있는 사람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는 점도 주시해야할 대목.
>> 하지만 인구의 문제는 역시 부동산에도 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는 참고해야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