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시대, 부동산 불황, 세계경제 위기 이 세 단어는 우리로 하여금 앞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답답을 가지게 한다. 상대적으로 과거 우리나라 부모님들의 세대는 고금리 시대에 우리 경제는 호황을 누렸고 무엇보다 부동산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사기만 하면 무조건 올랐다. 즉 재테크가 필요없던 시절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다르다. 위 세단어에서 처럼 이제는 막연히 저축만 해서는 돈을 모으기가 어렵다. 아니 오히려 돈을 잃을 수도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하우스푸어이고 수많은 개미투자자들이다. 이러한 가운데 별의별 다양한 재테크 방법이 시장에 난무하고 있고 그로인해 국민들의 생각은 더욱 어지러워지고 있다. 도대체 어떻게 하란것인지 힘들어하는게 사실이다.
재테크의 정석을 지키고 불확실한 소문과 방법에 당신의 미래를 저당잡히지 말라고 말이다. 현명한 지혜가 필요한 시점인데 저는 이해가능한 상식적인 선에서 말씀을 드리려한다. 제가 말하는 재테크의 정석은 단순하다 지금까지 우리가 열심히 해오던 적금 꾸준히 하고 여유가 있을때 펀드도 열심히 하고 노후를 대비해서 연금도 일찍부터 준비해두라는 것이다.
주의에 소위 재테크 좀 한다는 분들보면 은행적금이자보다도 못한 수익을 버는 경우 또는 오히려 손해를 보는 분들이 허다하다. 그 이유는 욕심에서 비롯되고 정확한 정보나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무작정 덤벼들기 때문이다. 이렇게 하면 안된다. 재테크는 단순히 돈을 버는 것이 아니라 내 자산을 지키는 것이 핵심이다.
적금이나 예금 너무나 좋은 상품들이다. 언제 해지하더라도 무조건 원금을 보장해준다. 알아서 이자를 지급해주는데 이만한 금융상품도 없다. 다만 저금리화로 인해 물가상승을 고려하자면 솔직히 주는 이자가 너무 야속한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러한 이자라도 어디서 쉽게 얻을 수 있는지 답을 아는 분들이 있다면 그렇게 하셔도 좋다.
하지만 저는 이러한 이자도 얻기가 너무나 힘든 세상을 살고 있다고 그만한 이자도 감사해야하는 세상을 우리가 살고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적금과 예금을 적극 활용하라도 말씀드리고 싶다.
신협이나 새마을금고를 가보자 3%정도의 적금상품을 가입할 수 있고 인터넷전용상품을 이용하면 추가이자도 받을 수 있다. 그뿐이 아니다 지점에 따라 다르지만 3천만원에서 최대 5천만원까지 이자소득세를 면제받기까지 할 수 있다. 이정도의 이자로도 만족할 수 없는가? 그렇다면 저축은행으로 눈을 돌려보자. 지금은 저축은행의 옥석이 많이 가려진 상태로 현재 운영중인 저축은행은 대체적으로 내실있는 은행이 많다. 그리고 이들 저축은행의 적금금리는 현재 4%를 넘는 상품들이 존재한다. 그리고 세금우대까지 받을 수 있는 것이 저축은행이다. 기본적으로 3천에서 5천까지 신협등을 이용한다면 추가적인 자금이 있다면 저축은행을 이용하는 것이 매우 좋다. 다만 5천만원의 예금자보호한도내에서 이용하는 것을 명심하자.
우리가 세상을 사는데 있어 언제든지 주변상황은 많이 바뀐다. 만약을 대비한 자금으로서 적금과 예금만한게 또 있을까 재테크라고 거창한것이 아니다 기본적으로 어느정도의 적금과 예금예산은 꼭 준비토록 하자.
펀드는 우리가 자산을 증식할 수 있는 핵심적인 수단이다. 펀드라고 해서 무조건 위험한것이 아니다. 한예로 얼마전 저에게 펀드를 가입한 고객분이 한 말씀이다. 5년이 넘은 현시점에 그분은 가치주펀드를 가입하였었고 현재 누적수익은 40%가 넘는다. 적립식펀드로 5년간 40%가 넘는 수익을 얻었다는 것은 매우 높은 수익을 가져간것인데 참고로 이분은 2~3년전만 하더라도 펀드의 수익이 마이너스라며 볼맨소리를 많이 하셨던 분이다. 하지만 이분이 놓치지 않은 것은 꾸준하게 매월 약속한 금액을 지금까지 납입하였다는 것이다. 그러한 결실이 5년뒤에 이뤄진것이다.
펀드의 수익향방은 결국 인내 곧 시간이다. 충분한 시간이 우리로 하여금 안전한 수익을 보전해준다. 이건 주지없는 사실이고 역사가 증명하는 사실이다. 워렌버핏은 자신이 보유한 주식을 10년이상 가져갈 자신이 없다면 주식을 시작도 하지 말라했고, 한국투자 10년의 이채원, 더클래식진주찾기의 김광진과 같은 유명한 펀드매니저들 역시 한목소리로 펀드를 가입한다면 최소 5년이상 유지하고 가능한 오래유지할 각오를 가지고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야기를 강조한다.
이와 같은 이유는 그만큼 투자에 있어 시간의 힘이 중요하고 시간은 우리로 하여금 금리이상의 높은 수익을 가져다준다는 재테크의 정석을 이야기하는 것이다.
실제 제가 보유한 대표펀드들의 경우 보면 지난 5년간 상위 30%내에서 떨어지지 않는 펀드위주의 선택을 강조한다. 이 결과 누적수익이 최소 50%에서 최대 90%까지 다양한 수익군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러한 펀드들의 공통점은 주로 가치주와 배당주위주의 펀드가 대부분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결국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최고의 재테크방법이 곧 싸게사서 비싸게 판다는 가치투자의 핵심을 이야기하는 것이고 우리는 그러한 펀드의 선택과 오랜 인내를 통해 큰 열매를 맺을 수 있는 결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노후대비에 대한 부분도 마찬가지다. 20년뒤 30년뒤 긴시간이후에 사용할 자금을 마련해야하기 때문에 장기투자가 핵심이 되어야하고 국가에서 보장하는 공적연금이 많은 분들이 아시다시피 매우 불안하고 특히 젊은층을 대상으로는 그 혜택이 미비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준비할수 있는 연금의 필요성이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장기투자를 이용한 개인연금은 변액연금이 해당된다. 변액연금은 펀드투자를 통해 목돈을 마련하여 연금형식으로 지급받는 것을 말하는데 최근 보기드문 한도없는 비과세혜택을 가지고 있어 세금피하기 딱 좋은(?) 미래대비 자금관리가 가능해진다. 그뿐만이 아니라 변액연금의 핵심은 장기투자와 종신연금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실제 2003년도에 시작된 우리나라 변액연금의 역사를 보면 연평균 20%의 수익을 가져다준 회사도 존재한다. 10년간 연 20%면 엄청난 수익이라 볼 수 있고 이러한 모든 것이 결국 장기투자에 의해 발생되는 결과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종신연금이란 평생 사망시까지 연금을 지급해준다는 뜻으로서 최근에는 가입자뿐 아니라 배우자까지 이어서 평생 연금을 보장하기 때문에 적은 돈으로도 결과적으로 오래살수록 몇배이상의 연금을 계속해서 지급받을 수 있다. 물론 이런 경우 보험회사는 배가 아프겠지만 그게 현실이기 때문에 가입자의 입장에서 이러한 혜택을 적극 활용해야만 한다.
그리고 정말 알려드리고 싶은 정보는 변액연금중에는 최고수익을 보장하는 상품이 존재한다. 일반 펀드에서는 볼 수 없는 이 기능은 만기까지 발생된 수익금중 가장 높았던 금액으로 연금을 지급한다는 이야기인데 수익변동성이 큰 펀드의 성격상 최고수익금을 보장한다는 것은 최상의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다. 가령 2000포인트 이상으로 주가가 오르던 2007년말에서 2008년에 1000포인트까지 주가가 반토막나고 급락했을때에 만기가 된 경우라면 2000포인트당시의 수익으로 연금을 지급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 재테크에 조금만 관심이 있는 분이면 어떠한 이야기인지 이해가 빠를것이다. 이야기하고자 하는건 명확하다. 노후대비는 변액연금이 맞다. 대신 꼭 최고수익을 보장하는 상품으로 준비하자. 그렇다면 당신의 노후는 진정 여유를 가질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언급한 내용모두 사실 매우 단순하고 우리가 쉽게 접하였던 내용들이면서도 쉽게 지나치코 무시한 내용들이고 하다. 수많은 분들을 상담하면서 그분들께 묻는다. 이러한 적금과 예금 가입한적이 있는지 이러한 펀드를 가입하고 이러한 연금을 가입한적이 있는지... 적금과 예금을 가입한경우는 많지만 대부분 그냥 시중은행의 적은 이자를 주는 곳을 이용한다.
어렵게 생각할수록 수익은 더 도망간다. 상식이 지배하는 선에서 재테크를 하자. 그리고 위에 언급드린 것 처럼 조금만 신경써서 금융상품을 선택하자.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흔한 이 금융상품들이 우리들의 통장을 더욱 살찌워줄것이다.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빌딩 산 큰손 따라잡자".. 부동산 개미의 셈법 (0) | 2013.11.17 |
---|---|
짠순이 김여사, 재건축 · 재개발 지분 왜 노릴까? (0) | 2013.11.16 |
22조원 몰린 부동산 펀드 '주목' (0) | 2013.10.10 |
부자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0) | 2013.10.04 |
30배 대박 vs -90% 쪽박, 어디서 갈렸나 보니 (0) | 2013.09.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