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버는 풍수] 지도를 보면 명당이 보인다 지도는 실재하는 땅의 모습을 일정한 비율로 축소해 한눈에 볼 수 있게 만든 그림이다. 다양한 사물을 한 폭에 모두 그릴 수 없으니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요소만을 기호로 그린다. 지도는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개발, 그리고 보전에 매우 주요한 자료이다. 뿐만 아니라 그 시대의 문화.. 풍수, 역학 2013.08.12
입추에 태어난 아기의 사주팔자 박규태 입추일에 태어난 사나운 사주팔자 오늘은 가을의 문턱에 들어선다고 하는 절기, 입추(立秋)입니다. 가을은 풍요를 상징한다고 하는데, 이날 출산한 엄마들은 부모님이나 주위 어르신들의 이야기를 듣고 근심에 쌓인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이유는 입추에 태어난 아기는 팔자가 사.. 풍수, 역학 2013.08.11
국토개발, 물길끊지 말아야 국토 개발 시 '물길'끊지 말아야 70% 이상이 산으로 둘러싸인 한국 땅에서 산은 우리 삶의 고향인 동시에 안식 처이기도 하다. 양지바르고 아늑한 산자락이면 응당 마을이 있고 우리는 그 산에서 흐르는 물 을 마시고, 밭을 일궈 곡식을 심었고, 땔나무를 구해 살아왔다. 조상의 뼈와 살을 .. 풍수, 역학 2013.08.10
[돈 버는 풍수]국운까지 연장시킨 명당 예로부터 물 맑고 산세가 좋아 시인묵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던 경기도 여주. 이곳에 세종대왕이 잠들어 있는 영릉(英陵)이 자리하게 된 배경에는 조선 초 왕실에서 벌어진 골육상잔의 비극이 있다. 세종보다 두 살 많았던 소헌왕후가 1446년 승하하자 지금의 서울 강남 대모산에 장사지낸 .. 풍수, 역학 2013.08.05
부산여성이 열광한 옷 색상 박규태 일상생활에 사용되는 “실내장식 용품을 풍수적인 견해로 인테리어” 하는 것을 풍수인테리어라 합니다. 고전 풍수에서는 단지 소품의 크기나 모양만 생각하였습니다. 그러나 사회가 발달하고 사람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점차 개인의 감각과 운에 맞는 디자인과 색을 적용하.. 풍수, 역학 2013.08.04
인테리어도 풍수 신경써야 조선 중기 고택인 운조루는 집을 지으면 복을 받는다는 '양택 명당'으로 유명하다. 이 고택이 소재한 구례군 토지면은 예로부터 세 가지 명당이 있다고 전해져 왔다. 지리산에 목욕을 하러 내려온 선녀가 하늘로 올라가며 실수로 떨어뜨렸다는 금가락지 명당(금환낙지형), 다섯 보배가 한.. 풍수, 역학 2013.08.04
[돈 버는 풍수] 무덤에 심어서 좋은 나무들 무덤을 유택(幽宅)이라 부른다. 죽은 사람이 사는 집이란 뜻이다. 왕과 왕비의 무덤을 능침(陵寢)이라 한 것도 ‘사후에 편히 쉬는 집’이란 의미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는 ‘천원지방’의 사상에 근거해 봉분을 원형으로 지었다. 혼령은 하늘에 머물기 때문이다. 오늘날 공원묘.. 풍수, 역학 2013.07.31
건물이 시야 가릴 땐 관엽식물 ◆부동산과 풍수(2)◆ 우리 조상들은 전망이 좋은 곳에 살림집과는 별도로 정자를 짓고 마음을 푸는 쉼터로 삼았다. 자연적인 상태에서 전망이 좋아 보이는 높은 곳은 바람이 세차게 부는 곳이라 살림집으로 적절하지 못하고 낮 동안 잠시 쉬었다 돌아오는 장소로 판단했다. 그러나 고층 .. 풍수, 역학 2013.07.28
[돈 버는 풍수] 남산은 한강의 바람 막아주는 안산 역할, 서울 중심부는 산이 둘러 싼 풍수적 길지 남산은 서울 도성의 남쪽을 동서로 가로지른 산으로 무한히 부드럽고 아름다운 기품을 지녔다. 예나 지금이나 남산에 올라 서울 도심의 빌딩을 한눈에 굽어보는 감회는 남산만이 주는 각별한 감흥이 틀림없다. 그렇지만 조선 시대를 통틀어 남산은 어떤 문헌에도 '남산'이란 이름으로는 .. 풍수, 역학 2013.07.22
상징성 있는 그림 집의 運 키워 ◆부동산과 풍수 (5)◆ 늦은 가을, 깊은 산 속 절에서 저녁 예불을 알리는 종소리가 산 아래까지 멀리 울려퍼진다. 그 정취를 그림으로 그리라는 시험이 있었다. 당선된 그림을 보니 어느 곳에도 절은 보이지 않았다. 다만 물지게를 지고 산길을 오르던 스님이 단풍이 물든 나무 아래에서 .. 풍수, 역학 2013.0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