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산만 마지막 보호구역 피폐 우려" vs "육지부만 해제..공해 없다"
(창원=연합뉴스) 정학구 기자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일대에 들어설 로봇랜드의 착공을 앞두고 지역 환경단체 등이 제동을 걸고 나섰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과 진보신당 경남도당 등은 4일 경남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로봇랜드 사업으로 마산만의 마지막 해양자원 보고이자 수산자원보호구역인 진동만마저 피폐화될 위기에 직면했다"며 일부 지역의 원형보전을 촉구했다.
이 단체들은 "수산자원보호구역에서 해제된 자라섬, 쇠섬, 안목섬 일대는 해조류가 띠를 이루면서 넓게 서식하고 있는 폐쇄구역으로 각종 어패류의 산란지와 서식지 기능을 하고 있다"며 "주민들은 이 일대 180㏊에서 양식업으로 고소득을 올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개발사업자는 쇠섬에는 아열대 식물원, 자라섬에는 산책로와 관리동, 안목섬에는 콘도를 계획하고 있지만 자라섬과 쇠섬으로 접근할 교통수단이 없다고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등은 지적했다.
사업자가 도로와 케이블카 건설을 계획했다가 환경부가 사업배제를 요구했고, 최근 구상한 유람선 마저 수산보호구역이기 때문에 불가능하게 됐다고 이들은 덧붙였다.
마창진환경운동연합은 그럼에도 사업자가 섬 개발을 포기하지 않는 것은 수산자원보호구역 해제를 노리는 것이며 인근 골프장이 중심인 구산해양관광단지 추진을 위해서도 수산자원보호구역 해제가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이 단체는 또 사업에 따른 해양생태계 영향을 고의로 검토하지 않았다는 점도 부각시켰다.
사전환경성검토 단계에는 없던 케이블카와 유스호스텔이 추가된데다 케이블카가 들어설 곳은 녹지자연도 7등급, 산사태 위험 1등급 등으로 부적합한 위치라고 이 단체는 지적했다
이에따라 마창진환경운동연합 등은 안목섬 등 3개 섬의 원형을 보전하고 케이블카와 유스호스텔도 사업계획에서 삭제할 것 등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경남도는 "구산면 수산자원보호구역 2천584만㎡ 가운데 1천710만㎡가 해제됐다"며 "섬을 포함한 육지부만 해제됐고 해면부는 해제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로봇랜드 시설은 공해배출시설이 아니며 하수는 덕동하수종말처리장으로 이송 처리, 양식장 피해는 없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여기다 내달 착공 이전에 해양생태계 영향과 관련한 시뮬레이션을 실시, 결과에 따라 보상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 도와 사업자의 구상이다.
케이블카에 대해 경남도는 "쇠섬과 자라섬을 연결하는 케이블카의 경우 주민들이 원하고 있으며 환경부와 재협의를 거쳐 최종 결정할 예정"이라고 해명했다.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구복리ㆍ반동리 일원에 조성되는 로봇랜드는 로봇전시관, 로봇경기장, 연구개발시설 등 공공부문에 2천660억원, 민간부문 4천340억원 등 모두 7천억원이 투입돼 2016년말 준공될 예정이다.
b940512@yna.co.kr
'개발계획·개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원 마산해양신도시 건설 '가시화' (0) | 2011.10.08 |
---|---|
남해와 여수 잇는 한려대교 기본계획 용역 착수 (0) | 2011.10.08 |
서울 대표적 달동네 난곡사거리 주변 상업·문화지구로 탈바꿈 한다 (0) | 2011.10.04 |
서해안 골드벨트 '황해경제자유구역'을 주목하라 (0) | 2011.09.12 |
제2경부 고속도로가 지나는 지역을 주시하라 (0) | 2011.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