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안전진단 강화, 4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영향..상승폭 꺾인 강남 집값 조정기 맞나
[아시아경제 류정민 기자] 새해 초부터 고공행진을 이어갔던 서울 강남 집값이 보합세로 돌아섰다.
철옹성처럼 여겨졌던 '강남 부동산 불패신화'의 균열이 감지된 셈이다. 오는 4월1일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제 시행을 앞두고 부동산 시장은 안정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문재인 정부 부동산 대책의 효과가 서서히 시장에 스며들고 있다는 얘기다.
16일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3월 둘째 주(12일 기준) 전국의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은 0.00%를 기록했다. 아파트 매매가격은 12주 만에 보합세로 전환됐다. 이는 서울의 부동산 시장 변화와 맞물려 있다. 특히 양천구는 -0.06%의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을 기록했다.
감정원 관계자는 "2017년 9월 셋째 주 이후 24주만에 양천구가 하락 전환했다"고 설명했다. 재건축 규제 강화와 가격급등에 대한 부담이 맞물린 결과다. 양천구는 올해 누적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이 3.90%에 달했다. 1월15일 조사에서는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이 0.93%에 달할 정도로 가격 상승세가 두드러졌다. 하지만 양천구 아파트값은 올해 처음으로 마이너스 변동률을 보였다.
국토교통부의 안전진단 강화 제도 시행 이후 서울의 주요 재건축 단지 부동산 시장은 얼어붙었다. 관전 포인트로 여겨졌던 '강남4구' 아파트값도 상승세가 꺾였다. 3월 둘째 주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률은 서초구 0.03%, 송파구 0.06%, 강동구 0.10%로 나타났다. 강남구도 0.13%로 조사됐다.
강남4구는 아파트 매매가격 마이너스 변동률을 눈앞에 둔 모습이다. 정부는 강남 집값 문제가 부동산 시장 안정의 최대 고민이었는데 대세 변화의 계기를 마련한 셈이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 정부 강공책이 부동산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서 "지난해 아파트값이 많이 오른 것을 고려할 때 올해 마이너스 또는 보합세로 전환되는 조정기를 맞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2월 서울의 주택매매거래량도 정부의 기대에 부합한다. 서울 주택매매거래량은 1만7685건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9756건보다 81.3% 증가한 결과다. 올해 1~2월 누적 주택매매거래량은 3만2792건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8% 늘어났다. 부동산 비수기인 1~2월에 주택매매 거래가 활발하게 이어진 것은 양도세 중과를 피하려는 다주택자의 심리가 반영된 결과다.
임대사업자 신규등록 인원 증가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올해 2월 임대사업자 신규 등록 인원은 9199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2월 3861명보다 2.4배 늘어난 수치다. 국토부는 다주택자를 상대로 임대사업자로 등록하거나 집 처분을 권유하며 압박의 수위를 높여왔다. 국토부의 정책적인 노력이 일정 부분 결과로 나타난 셈이다.
부동산은 심리적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시장이다. 정부가 강력한 규제 수단을 내놓더라도 부동산 가격이 앞으로 오를 것이란 믿음이 형성되면 투자 열기를 잠재우기 어렵다. 반대로 부동산 상승세가 꺾였다는 인식이 확산할 경우 투자 열기는 위축될 수밖에 없다.
부동산 지표는 정부가 기대한 방향으로 흐르고 있지만 아직은 시장 흐름을 더 지켜봐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강남 부동산 시장은 일정한 조정기를 거친 이후 다시 상승세로 전환할 가능성도 남아 있다는 얘기다.
류정민 기자 jmryu@asiae.co.kr
'일반(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값 불안 최대 요인은 장년층 '노후대비' 부동산 투자" (0) | 2018.03.29 |
---|---|
집값 당장 급락 없겠지만 올 하반기엔 하락세 커질듯 (0) | 2018.03.29 |
[富보고서③]부자 60% "향후 2~3년 안에 부동산 안판다" (0) | 2018.03.22 |
[로또청약 후폭풍]①대출 불가에 청약포기? "방법 있어요" (0) | 2018.03.22 |
편의점 4만개 시대, 편의점 벤치마킹, 차별화 내세우는 업종들 봇물 (0) | 2018.03.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