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골프인구는 정점에 달했는데 골프장수는 급격히 늘고 있으니 걱정됩니다. 경기가 확 풀리지 않는 한 예탁금(입회금) 반환문제가 뇌관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지난달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골프장수는 총 369개(군 골프장 포함)며 120개 골프장의 건설공사가 진행 중이다. 여기에 230개 골프장의 인·허가가 추진된다. 이들 골프장이 모두 완공되면 700개가 넘는다.
일본 골프장수가 2442개로 여전히 3.5배 가량에 달하지만 일본의 연간 골프장 이용객수(9000여만명)가 한국의 골프장 이용객수(2500여만명)의 3.6배에 달하는 점을 감안하면 이용객당 골프장 수는 이미 몸살을 겪은 일본 수준으로 늘어나는 셈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자금사정 악화 등으로 공사일정이 미뤄진 곳이 많지만 매년 새로 개장하는 골프장이 30∼40개에 달할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이같은 추세라면 2015년 말에는 전국에서 558개 골프장이 문을 연다. 4년 뒤면 국내 골프인구를 감안한 적정 골프장수인 450∼550개를 상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골프인구도 2012년 최고 정점에 달할 것이라는 예측이 많다. 미국 일본 등 골프 선진국의 예를 볼 때 레저와 스포츠가 복합된 다양한 문화가 자리잡으면서 신규 골프인구 유입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서천범 소장은 "2008년 2367만명인 골프장 이용객수는 2011년 2635만명까지 증가했다가 점차 감소할 것"이라며 "1회 라운드에 최소 15만원 이상 비용이 드는데다 이동시간까지 최소 5∼6시간 소요된다는 점 때문에 이미 스피드를 즐기는 젊은층으로부터 인기를 얻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골프회원권 가격이 분양가보다 하락하면서 지방 곳곳에선 이미 입회금 반환 문제가 불거지고 있다. 골프장들은 회원권 입회금을 공사비, 운영비 등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즉시 돌려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제주도를 비롯해 영·호남권 일대 골프장 중에선 각종 소송에 휘말려 워크아웃에 들어간 곳도 있다.
서 소장은 "일본에서 지난 10여년간 부도난 곳은 대부분 회원들의 입회금 반환 요청 때문이었다"며 "자기자본 없이 회원권 분양대금을 받아 골프장을 건설하는 잘못된 방식을 근본적으로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회원권 분양제도를 원천적으로 금지하는 것이 어렵다면 공정률 30%만 넘으면 분양할 수 있도록 한 기준을 50%로 강화하는 것도 한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골프장 운영방식의 전환, 정부 지원의 필요성 등을 강조하는 의견도 있다. 일본골프장사업협회 한 관계자는 "한국은 일본을 교훈삼아 무분별한 골프장 개발은 절대로 경계해야 한다"며 "인력감축, 비용삭감 등 경영 슬림화, 스파·호텔 등 시설을 확충해 다양한 마케팅전략 등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 '1억엔→3억2000만엔→6000만엔'…日아파트 20년
'골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욱순 프로] 퍼팅의 성공률을 높이는 비법 (0) | 2010.10.04 |
---|---|
`골프의 더블딥` 피하려면 (0) | 2010.10.04 |
"임팩트 후 목표 방향으로 팔 쭉 뻗어야" (0) | 2010.10.04 |
"우승 비결이요? 티오프 전 `8.5대 3.5루틴` 꼭 지키죠" (0) | 2010.10.04 |
컴퓨터 샷 비결은 `작은 백스윙`…지면과 15도에서 톱 완성 (0) | 2010.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