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초 -0.03%·강남 -0.02%·송파 -0.01%·강동 -0.01%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정부가 11·3 부동산 대책을 통해 입주 때까지 분양권 전매를 금지한 서초·강남·송파·강동 등 이른바 강남4구의 아파트값이 일제히 하락했다.
한국감정원이 10일 발표한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동향(지난 7일 기준)에 따르면 전주대비 매맷값은 0.05%, 전셋값은 0.06% 상승했다. 매맷값은 상승폭이 0.01%포인트 줄었고 전셋값은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http://t1.daumcdn.net/news/201611/10/akn/20161110140011725fopx.jpg)
감정원 관계자는 "정치·사회적으로 불안정한 정세가 계속되는 가운데, 11·3 청약시장 안정화를 주요 골자로 하는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발표됐다"며 "이 영향에 주요 조정 대상지역인 강남4구와 부산 등을 중심으로 매물가격이 하락하거나 관망세가 확산되는 등 투자심리가 위축됐다"고 말했다.
수도권(0.07%)은 서울·인천·경기 모두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0.11%)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0.04%포인트 줄었다. 강북권(0.16%)은 이사철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광진구와 은평구 등은 상승폭 축소됐으나 마포구와 성북구 등을 중심으로 상승세 소폭 확대됐다. 강남권(0.08%)은 11·3 대책의 핵심지역인 강남4구에서 국지적 시장과열을 나타낸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저가매물이 증가하고 매수문의가 현저히 줄어드는 등 관망세 확대돼 지난주 상승에서 일제히 하락 전환돼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0.07%P)됐다.
지방(0.03%)은 충남은 지난주 하락에서 상승 전환됐고 전북·전남에서 상승폭 확대됐으나, 그동안 급등세를 보이던 부산이 이번 대책으로 청약조건 강화된 해운대구를 비롯한 연제·동래·수영·남구 등 5개구에서 관망세가 나타나며 상승세 둔화를 주도했다. 이 외에도 경북·경남 등에서 하락세 이어가며 전체적으로는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부산(0.22%)과 제주(0.16%), 서울(0.11%) 등은 올랐다. 울산(0.00%)은 보합, 경남(-0.07%), 경북(-0.06%) 등은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16→107개)은 줄었다. 보합 지역(19→27개) 및 하락 지역(41→42개)은 늘었다.
전셋값은 국지적으로 신규 입주 아파트의 전세 공급이 누적된 지역은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나, 역세권 등 접근성이 양호하거나 구조·편의시설 등 거주선호도가 높은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전세수요가 이어지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유지했다.
![](http://t1.daumcdn.net/news/201611/10/akn/20161110140011873dgdv.jpg)
수도권(0.08%)은 인천과 경기가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지만 서울이 상승폭을 유지하며 지난주와 동일한 상승폭을 보였다.
서울(0.09%) 중 강북권(0.13%)은 중랑구가 비교적 저평가된 역세권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을 주도하고 도심권 직주근접이 가능한 종로·용산·중구 등에서도 상승세를 이어가며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확대됐다. 강남권(0.06%)은 금천·영등포구는 상승폭이 확대됐으나, 가을이사철이 마무리되어 감에 따라 양천·구로·동작구는 상승폭 축소되고 재건축 예정단지의 저가임대 영향으로 강동구가 하락 전환되며 전체적으로는 지난주 대비 상승폭이 축소됐다.
지방(0.05%)은 대구·울산이 하락 전환되며 5대 광역시의 상승폭은 축소됐으나, 전남·경남은 상승폭 확대되고 제주와 강원 등에서 상승세 이어가며 지난주 상승폭을 유지했다.
시도별로는 부산(0.15%)과 제주(0.12%), 서울(0.09%), 강원(0.09%) 등은 올랐다. 충남(0.00%)은 보합, 울산(-0.04%), 경북(-0.03%), 대구(-0.02%)는 내렸다.
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130→128개) 및 하락 지역(24→23개)은 줄었다. 보합 지역(22→25개)은 늘었다.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알원(www.r-one.co.kr) 또는 감정원 부동산정보 어플리케이션(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간 아파트 시황]11·3 대책 영향으로 서울 재건축 0.08%↓..2주 연속 하락 (0) | 2016.11.14 |
---|---|
[MK 시황] 매수자도 매도자도 '일단 지켜보자' 관망세 (0) | 2016.11.13 |
'11·3 대책 여파' ..서울 재건축 34주만에 하락 (0) | 2016.11.05 |
강남4구 아파트 4주째 상승폭 둔화 (0) | 2016.11.04 |
지난달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실거래가 (0) | 2016.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