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재건축 아파트값이 34주만에 하락했다. 정부의 추가대책 발표를 앞두고 일주일만에 0.12% 떨어지면서다. 전매 ·청약제한 강화를 골자로 한 이번 대책에 따라 분양시장은 물론 재건축 시장도 위축될 전망이다.
4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11월 첫째 주 서울 아파트값은 상승폭이 2주 연속 절반으로 감소했다. 10월 셋째주 0.24%에서 일주일 뒤 0.12%로 줄었고, 지난 4일 0.06%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그 동안 과열된 분양시장에 정부가 꾸준히 규제 시그널을 보낸데다 지난 3일 대책 발표를 앞두고 규제수위에 대한 불안감이 아파트 값에 선반영된 것이다.
|
서울의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격은 34주만에 하락하는 모습을 모였다. 특히 강남구 개포동 주공1단지(사업시행인가)와 송파구 잠실동 주공5단지(조합설립인가)등이 떨어졌다. 서성권 부동산114리서치센터 선임연구원은 “강남4구와 과천의 분양권 전매제한 기간을 소유권 이전등기 시까지 연장하는 등 예상보다 높은 강도에 시장은 당혹스러운 모습”이라며 “간접적으로 과열된 서울 재건축 아파트 시장에 대한 연착륙 유도 메시지를 담고 있어 당분간 분양시장은 물론 재건축 아파트 시장의 위축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
구별로는 마포(0.28%), 중구(0.27%), 도봉(0.23%), 성동(0.18%), 구로(0.15%), 관악(0.13%) 순으로 매매가격이 상승했다. 마포는 주변 업무지구와의 접근성도 좋아 매물을 찾는 수요가 꾸준하다. 도봉은 재건축과 창동차량기지 이전 등에 따른 개발기대감이 더해지며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강남(-0.07%)은 32주만에 하락세를 보였다.
신도시와 경기 ·인천은 매매전환 수요로 각각 0.04%, 0.05%를 기록했다. 신도시는 일산(0.12%), 중동(0.09%), 판교(0.07%), 분당(0.03%), 파주운정(0.03%)이 상승했다. 일산은 테크노밸리 조성 호재로 소형 아파트에 대한 투자수요가 이어졌고, 중동은 중소형 아파트 위주로 실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경기 ·인천은 과천(0.32%), 파주(0.12%), 의정부(0.11%), 시흥(0.09%), 광주(0.09%), 수원(0.08%), 고양(0.07%), 성남(0.07%), 광명(0.05%) 순으로 상승했다. 과천은 거래는 주춤하지만 매도호가가 오르면서 가격 상승세가 이어졌고, 파주는 전세매물 부족으로 매매 전환 거래가 꾸준하다.
한편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0.03% 변동률을 보였다. 이주가 임박한 재건축 아파트의 저가 전세매물이 나오면서 전주 대비 상승폭은 둔화됐다.
반면 신도시는 위례와 일산 등 서울 인접 지역의 전세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며 0.09% 상승했고 경기 ·인천은 지난주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0.06% 상승했다.
/박경훈기자 socool@sedaily.com
|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MK 시황] 매수자도 매도자도 '일단 지켜보자' 관망세 (0) | 2016.11.13 |
---|---|
'11·3대책 직격탄' 강남4구 아파트값 일제히 하락 (0) | 2016.11.11 |
강남4구 아파트 4주째 상승폭 둔화 (0) | 2016.11.04 |
지난달 다세대/연립주택 매매 실거래가 (0) | 2016.11.03 |
떨어지지 않는 집값..10월 전국 집값 0.24% 올라 (0) | 2016.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