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환경지수 25개월 만에 100 이하로 떨어져
(서울=연합뉴스) 박인영 기자 = 계절적 비수기에 시장 불확실성에 대한 우려가 맞물리며 주택시장 전반의 동향을 나타내는 12월 주택사업환경지수가 25개월 만에 100 이하로 떨어지는 등 주택시장이 급격히 얼어붙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산업연구원은 12월 주택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전국 주택사업환경지수 전망치가 전달보다 34.3포인트 하락한 65.7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주택사업환경지수는 2013년 9월까지 지수 100 이하를 밑돌다 정부의 규제 완화 와 수도권 시장 회복세로 2013년 10월 지수 100을 넘겼다.
이후 매매시장과 분양시장이 안정세로 접어들었으나 25개월 만에 다시 주택사업환경지수가 100 이하로 떨어진 것이다.
수도권이 전달보다 41.9포인트 하락한 66.9로 가장 큰 하락폭을 보였고 서울은 35.7포인트 떨어진 81.7, 지방은 28.7포인트 내린 77로 나타났다.
주택사업환경지수 최고치는 전달보다 8.8포인트 떨어진 100을 기록한 제주이고 전달보다 가장 큰 하락폭을 보인 곳은 43.3포인트 떨어진 경기(68.4)다.
분양계획지수는 전달보다 36.5포인트 하락한 83.7, 분양실적지수는 34.1포인트 떨어진 85.7로 분양시장 기대감도 급락했다.
이는 공급가격지수 하락으로 이어져 공급가격지수는 전달보다 22.8포인트 떨어진 98을 기록했다.
주택산업연구원이 진행한 집단대출 심사와 관련한 설문조사에서는 '사업 진행 중 집단대출 심사 강화로 사업이 지연됐다'는 응답이 28.3%, '집단대출 심사 강화에 따른 내년도 주택시장에 영향이 클 것'이라는 응답이 75%에 이르렀다.
주택산업연구원은 "건설사의 향후 자금난과 여신심사 선진화 가이드라인으로 인한 수요 위축이 내년 주택시장에 가장 위협적인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mong0716@yna.co.kr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시장 '꽁꽁' .. 아파트 매매가·전셋값 상승세 주춤 (0) | 2015.12.18 |
---|---|
12월 주택거래 90% '뚝' (0) | 2015.12.17 |
경기 불안에 집값 흔들..신도시 아파트값 18개월만에 하락 (0) | 2015.12.12 |
서울 아파트값 상승폭 7주 연속 줄어 (0) | 2015.12.11 |
아파텔 변칙 상품, 저금리 전세여파로 상품성 확보 [장용동大기자의 아침편지] (0) | 2015.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