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KB국민은행 부동산정보사이트에 따르면 9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월 대비 0.64% 올랐다.
올해 들어 9월까지 4.76% 상승하며 지난해의 연간 상승률(4.36%)을 1.1배 넘어섰다. 단독과 연립의 전세가격도 9월까지 각각 2.87%, 4.04% 오르며 지난해의 연간 상승률을 모두 웃돌았다.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은 9월까지 7.49% 올랐으며 전월대비로는 0.97%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의 연간 상승률(4.86%) 보다 1.5배 높은 수준이다.
구별로 살펴보면 성북구(10.65%), 강서구(10.56%)는 10%대를 넘어섰고 강동구(9.19%), 영등포구(9.00%), 동작구(8.62%), 마포구(8.38%), 송파구(8.00%) 등의 순이었다. 종로구는 3.59% 상승에 그쳐 가장 낮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국민은행 관계자는 “가을 이사철을 맞아 서울, 수도권의 경우 전세물량이 부족한 가파른 월세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전세는 매물품귀로 대부분의 평형에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도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지난 8월 72.4%를 기록한 후 이번 달 72.9%로 올랐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 역시 상승세다. 지난 8월 70.9%를 기록한 후 이번 달 71.8%를 기록, 지난 달보다 0.9%포인트 올랐다.
수도권(72.9%)과 지방 5개 광역시(72.6%)도 72%대의 높은 전세가율을 보였다.
서울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은 2014년 7월 이후 14개월 연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월 대비 0.73% 오르며 상승 폭도 확대하고 있는 모습이다. 전국(3.96%), 수도권(4.31%), 지방 5개 광역시(5.16%)의 경우도 상승세를 유지하며 지난해의 연간 상승률을 모두 넘어섰다.
이 관계자는 “매매시장은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가계부채 종합 관리방안과 미국 금리인상 논의 등 불안정한 요인에도 저금리와 전세매물 부족 등의 수급불균형이 지속하면서 실수요자 중심의 거래가 활성화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매경닷컴 류영상 기자]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택의 팽창, 45만명 인구가 2020년에는 80만명. [장용동大기자의 아침편지] (0) | 2015.10.03 |
---|---|
10월까지 주택시장 활기.. 점차 에너지 떨어져.. [장용동大기자의 아침편지] (0) | 2015.10.02 |
수도권 신도시 지형 변화, 남방불패. [장용동大기자의 아침편지] (0) | 2015.10.01 |
'전세찾는 세입자들 vs 집주인은 월세선호'.."매물이 없다" (0) | 2015.09.28 |
'풍요속의 빈곤'..리츠 성장에도 AMC 10곳중 4곳 '적자' (0) | 2015.09.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