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와 투자에 대한 잘못된 조언
흔히들 많은 사람들이 '재테크' 수단으로 저축과 연금형 종신보험, 부동산,
주식투자, 펀드상품 등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아껴야 잘산다"는 투철한
절약정신으로 소비는 줄이고, 저축을 늘려 자산규모를 키우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조금 재테크 전문가라고 하면 채권투자와 직접투자, 부동산 경매
등까지 시야를 넓혀 투자수익을 극대화하는 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업가와 투자가는 위에서 흔히들 하는 방식으로 재테크를 할까요?
빌게이츠는 MS사를 세운 사업가이지만, 자기 자본의 일부를 MS사의 주식으로
전환하여 경영권을 행사하고, 여타의 자본으로 다른 다양한 분야에 투자를 하는
투자가이기도 합니다.
토머스 스탠리에 의하면 미국 인구의 3.4%에 해당하는 백만장자들은 거액의
유산을 받아 부자가 된 경우는 드물고, 80%는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도 아니며,
직업도 용접공이나 고물상인, 세탁소, 수리공 등 평범한 분야에서 경제적 소득을
실현한 사람들이라고 합니다.
이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작은 소득을 절약하고, 열심히 저축을 했지만 결코
지금보다 여유롭게 살고자 돈을 모은 것이 아니라 자신의 아이디어를 자산으로
만들기 위해 작은 돈으로 작게 투자를 하였습니다. 그리고 자신만의 사업자산을
만들어서 안정적인 수익기반을 구축했고, 잉여자본을 활용해서 수익의 파이를
키우는 데 집중하였습니다.
이글을 읽는 지금도 인터넷 뉴스검색을 통해 재테크를 키워드로 검색하면,
경제컬럼니스트의 조언, 은행 및 증권사, 보험사의 복리투자상품이니 하면서
많은 조언들이 있을 것입니다. 90%는 이들 상품에 열심히 저축과 투자를 하고,
10%는 백만장자가 된 사람처럼 투자를 합니다.
아래와 같은 조언들을 많이 들으셨을 것입니다.
1. 시간의 마술 복리상품을 적극 활용하세요!
2. 고수익 위험 상품보다는 저금리라도 꾸준히 안정적으로 저축하세요!
3. 세금 면제될 때까지 10년 이상 복리상품으로 장기투자하세요!
4. 펀드상품은 계속 보유하고, 분산투자에 집중하세요!
5. 장기투자는 결국 연평균 7% 이상 수익률을 가져다 줍니다!
6. 혜택이 많은 신용카드를 사용하거나, 아예 짤라 버리세요!
7. 소득공제 혜택이 있는 연금보험 상품 필수적으로 가입하세요!
8. 주식투자보다 안전한 채권투자에 관심을 가지세요!
누가 누구를 위해 조언을 하는 것일까요?
대부문 은행의 영업사원이나 보험설계사, 증권전문가 등으로부터 받은
재테크 조언 아닌지요? 그들이 그렇게 해서 부자가 되었는지요?
부자는 아니지만 위의 조언대로 저축과 투자를 하는 사람들이 많을 수록
그들의 연봉은 높아진다는 것입니다. 곧 연말인데 금융권 돈잔치 기사가
나올 수도 있겠네요... 오히려 저와 같이 위의 조언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은 명퇴나 구조조정을 당할 수 있겠지요...
아이러니하게도 아래와 같은 조언도 있습니다.
1. 대출은 좋지 않지만, 저희 은행에서 대출을 받으시는 것이 유리합니다.
2. 신용카드 좋지 않지만, 저희 은행 카드를 쓰시면 혜택이 많습니다.
3. 죄송하지만 당사 규정에 맞지 않아 다른 데서 대출을 알아보세요.
4. 대출을 해드리겠지만, 보험상품이나 적금 하나 꼭 가입하세요.
5. 저금리로 대환해드리는 장기 신용대출 상품을 권해 드립니다.
은행은 투자상품을 적극 유치하면서도, 대출도 신중하면서도 적극적으로
권하고 있습니다. 투자상품이야 실적이 어떻든 증권사로부터 유치수당과
사업비 수수료 챙기니까 좋고, 돈 있는 사람들에게 대출도 많이 해야
안정적으로 금리 수익을 챙기니까 좋겠죠...
복리로 유인하여 수수료 챙기면서 여신한도를 늘리고, 대출 장사하는
영업사원들의 조언이 과연 진정한 재테크일까요?
은행과 증권사, 투신사 등 금융기관에서는 간접투자 상품을 유치하여
수익이 나도 그들이 받는 수익에 비해 초라하기 짝이 없는 이익을
고객에게 제공하고, 손실이 나면 계속 장기적으로 보유하라는 조언을
지난 수십년간 들어온 재테크 조언들입니다. 손실 책임도 분산투자를
하지 못한 고객의 탓으로 돌리기도 합니다.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안목으로는
은행에 꾸준히 저축하고, 복리로 굴려서 수익을 늘리고,
어떻게 굴려지는지 모르는 간접투자 상품에 분산투자하여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재테크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은행의 조언을 모범적으로 받아들이며, 열심히 일만 하는 것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하루만에 월급 이상의 수익을 챙기는 데,
어떤 사람들은 한달을 야근까지 하며 술과 함께 한달 월급을 챙깁니다.
가장 필요한 것은 돈을 모은 것이 아니라 돈을 만들어 내는 자산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돈 없어도 그 자산을 만드는 방법을 연구해야 합니다.
가장 적게 일하고 많은 수익을 낼 수 있는 경제적 효율성을 높이는 데에도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월급과 저축, 절약이 전부라고 한다면 이미 당신은 21세기에
20세기 사고방식으로 살아가시는 분이실 것입니다.
미래에 기회를 찾아, 작지만, 그리고 아주 돈이 없지만
조금이라도 시도해보려는 투자마인드를 먼저 갖춰야 하지 않을까요?
출처:마이사업(www.mysaup.com)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간 비즈니스’를 알면 돈이 보인다 (0) | 2010.12.29 |
---|---|
[투자 클리닉] 신년 대비한 포트폴리오 조정 (0) | 2010.12.28 |
[스크랩] 돈 복 없다는 사람을 위한 7가지 처방전| (0) | 2010.12.26 |
[MONEY & RICHES] 내년 증시엔 돈바람 부동산에는 봄바람 (0) | 2010.12.25 |
"내년엔 이게 폭탄"..정부가 꼽은 경제리스크 3가지 (0) | 201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