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웅]세상은 어수선하고 부동산은 냉랭하다. 침체기 부동산재테크 요령 금리도 오르고, 온도계의 눈금도 오르는 3월 중순이다. 세상 모두가 올라도 강남 집값도 고개를 숙였고, 수출도 반 토막으로 줄어 기업체마다 울상이다. 특히 섬유업체들은 더 이상 버티기가 어렵다고 하니 15만 명의 근로자는 어디로 가야할까. 어느 자동차 업.. 전문가 칼럼 2018.03.15
[오은석]임대사업자 등록자수 증가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임대사업자 등록자들이 갈수록 증가하면 어떤 일이 생길까? 올해 4월 이후 조정대상지역내 부동산을 처분한 다주택자의 경우 양도세 중과가 적용된다. 지난해 8.2 대책의 결과 2주택 이상 다주택자가 조정대상지역 내 주택 양도시 양도소득세 중과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적용 배제가 실시 .. 전문가 칼럼 2018.03.15
[윤정웅]부동산은 짐이다 향후 부동산투자 주의사항 이 세상에 태어날 때 태어나고 싶어 태어난 사람 있던가. 태어나는 순간 인생자체는 짐이다. 가난도 짐이고, 부유도 짐이다. 질병도 짐이고, 책임도 짐이다. 헤어짐도 짐이고, 미움도 짐이며 사랑도 짐이 될 수 있다. 짐 중에서도 가장 무거운 짐은 부동산 짐이.. 전문가 칼럼 2018.03.15
[집코노미] 임대 물건 '뭉터기 경매' 속출..경북에 무슨 일이 지역 경제 위축에 경매 물건 나홀로 급증새 올들어 경상북도 주거시설 경매물건이 ‘나홀로’ 급증하고 있다. 다른 지역은 역대 최저치 경신을 지속 중이다. 한꺼번에 여러채씩 경매에 나오는 무더기 경매가 특징이다. 도대체 경북 부동산시장에 무슨 일이 일어날 걸까. 위축되는 지역경.. 경·공매자료 2018.03.15
[월세받는 직장인] 4월부터 사야 할 부동산, 팔아야 할 부동산 지난해 8월2일 역대 가장 강력한 부동산종합대책이 발표되고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칠 것이라고 여겨지는 양도세 중과가 시작되는 날인 4월1일이 성큼 보름 앞으로 다가왔다. 이 시점에는 사실 대부분의 투자자들은 부동산 정리를 끝낸 후가 아닐까 싶다. 왜냐하면 부동산은 특성상 처분을 .. 나의 이야기 2018.03.15
[스크랩] [박준호 교수의 부동산 투자교실] 그린벨트를 알아야 돈이 보인다!! - 최종결론- 출처 : 보람과 희망…비영리단체 ‘황막사’(황사 막는 사람들)글쓴이 : 최유종 원글보기메모 : 동영상 2018.03.08
[김용남]한국형 부동산자산관리사 양성이 필요한 이유 부동산투자의 패러다임이 양도차익(Capital Gain) 추구에서 운영수익(Operating Income) 중시로 빠르게 바뀌고 있다. 그 동안 투자자(빌딩 소유주)들은 부동산을 고정자산으로 인식하고 최소한의 물리적 관리인 시설관리에만 신경을 쓰면서 매각차익을 기대했으나 이제는 투자환경변화로 인해 과.. 부동산자산관리 2018.03.08
[오윤섭]서울도 부산 대구처럼 조정장세가 올까? 오는 4월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한달을 앞두고 있습니다. 다주택자는 물론 무주택자나 1주택자, 일시적 2주택자도 3월말까지 매매계약을 하고 잔금을 치루고 매수하려고 안간힘입니다. 하지만 매도자우위시장이라 매도자는 여유 있고 매수자는 초조합니다. 이번 주 오윤섭의 부자노트.. 전문가 칼럼 2018.03.08
[구만수]모르면 차라리 가만히 있는 것이 낫다 모르면 차라리 가만히 있는 것이 낫다 ‘보이지 않는 손’으로 유명한 아담스미스는 우리에게 익숙한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이다. 그의 명저 ‘국부론’은 잘 모르지만 ‘보이지 않는 손’이 시장경제를 알게 모르게 균형을 이루게 한다는 것쯤은 학교 다닐 때 배워서 알고 있다. 필자 역.. 전문가 칼럼 2018.03.08
[윤재호]경매 낙찰 후 ‘사후처리’가 중요한 이유 Q. 경매로 낙찰 받은 이후 대처 방안은? A. 낙찰, 참 기분 좋은 일이다. 처음 입찰해 낙찰이 됐든 수차례 패찰의 고배를 마신 후 낙찰이 됐든 낙찰 그 자체는 희열 그 자체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얻는 좋은 결과다. 그러나 낙찰의 기쁨도 잠시 이제부터 해야 할 일이 많다. 법원의 매각허가.. 경·공매자료 2018.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