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조건은 운(運)이다? 박규태 부자의 꿈을 꾸려면 ‘숲’도 살펴라 부자의 정의는 무엇일까? 흔히들 부자의 기준을 힘든 일은 본인이 하지 않아도 되고 사고 싶은 것과 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대로 사고 행할 수 있는 자유가 있는 것이라고 합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부자는 재물을 넉넉하게 가진 사람”이라고 되어있.. 풍수, 역학 2010.11.03
집은 역시 남향이야 주택시장에서 향은 여전히 중요한 요소다. 같은 크기의 같은 평면인 데도 향에 따라 청약 성적이 큰 차이가 난다. 지난 달 말 동원개발이 경남 김해시 장유읍 율하리에서 청약 접수를 받은 김해 율하 동원로얄듀크가 그렇다. 이 아파트는 750가구가 모두 전용 84㎡형이다. 하지만 3개 타입 중 유독 C타입.. 풍수, 역학 2010.11.02
`잘생긴건물` 기준은 안정성·균형·매끈함 '못생긴건물`에선 될 사업도 안돼 건물은 그것이 크든 작든 간에 최고경영자(CEO)가 사업을 운영하는 곳,회사의 임직원이 하루 종일 근무하는 사무 공간이다. 그러므로 건물의 기본은 사람이 어떤 건물에서 근무해야 보다 건강하고 행복해질 수 있는가 또는 회사가 발전하려면 어떤 건물에 입주해야 하는가 하는 사람과 회사에 중심을.. 풍수, 역학 2010.11.01
[스마트 財運]부동산으로 돈버는 사주 따로있다 부동산 금융자산 현금을 적정 비율로 보유하는 것이 자산운용에선 금과옥조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말라'는 이른바 포트폴리오 구성은 자산운용에선 철칙으로 통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들의 상당수는 아직도 부동산에 집착한다. '부동산 불패신화'가 흔들리고 있지만 "땅은 영원하다"고 외.. 풍수, 역학 2010.11.01
지하층 깊게 파면 수맥파로 地氣 약해지고 그 땅위에 지은 빌딩은 사업운이 사람은 산천의 정기를 받고 태어나므로 주(主)산에서 집으로 뻗어온 지맥과 지기가 온전히 보존돼야 훌륭한 인물이 태어난다고 우리 조상들은 믿어 왔다. 배산임수(背山臨水)에 따라 집터를 잡고 집도 산기슭에 바짝 붙여서 지은 이유다. 뒤뜰은 산의 비탈면을 깎아 여러 단의 화단을 만들고 계단에는.. 풍수, 역학 2010.10.25
`속 깊은 건물`에 福이 있다…도로에 접한 앞면보다 안쪽 공간 깊어야 몇 년 전 한 가전업체 대리점의 입지를 선정할 때 입지 분석은 물론 내부 인테리어와 상품 배치에 이르기까지 풍수지리의 다양한 자문을 받은 적이 있었다. 여기서 이 대리점 입지의 좋고 나쁨을 판단하는 기본 원칙이 있다. 여러 상황이 좋아도 이 원칙에 위배되면 대리점 개설에 신중을 기한다. 도로.. 풍수, 역학 2010.10.25
땅을 성형하면 氣가 좋아질까 '만 명의 목숨을 살려라.' 이 말은 한자로 하면 활만인(活萬人)이 된다. 경북 안동 하회마을의 터줏대감인 양진당(養眞堂,보물 제306호)에 전해 내려오는 얘기다. 풍산 류씨의 시조인 류종혜가 고려 말,조선 초에 풍산에서 하회마을로 옮겨와 터를 잡았다. 재산이 넉넉했던 그는 규모가 큰 집을 지으려 .. 풍수, 역학 2010.10.18
배수진을 친 건물인지 살펴라 땅은 살아있는 생명체로서 지기(地氣)를 갖고 있다. 지기는 산에서 생성 · 저장된 다음, 산줄기인 지맥을 따라 사방팔방으로 흘러간다. 지기는 항상 산에서 내와 들 쪽으로 흘러가지, 반대로 산으로 거슬러 흐르지 않는다. 전통 마을에서 집이 지어진 왼쪽 방향을 보면 모두가 산을 등지고 내를 바라.. 풍수, 역학 2010.10.03
건물모양 전항수 2. 건물모양 사무실이나 상가 공장의 건물 모양은 일그러지지 않고 반듯하여 안정감이 있어야 한다. 대기 중에 흐르는 기는 건물에 다다라서는 그 모양대로 변한다. 건물의 외관이 복잡하고 날카로우면 기 역시 복잡하고 날카롭게 변해 좋지 않은 영향을 준다. 특히 1층이나 중간층을 벽을 하지.. 풍수, 역학 2010.09.30
비탈길 따라 재물 흘러나가…경사진 곳에 지어진 건물엔 입주 피해야 우리나라는 산이 많은 나라다. 오랜 세월을 두고 사람들이 험한 산을 지나다니면서 자연스레 길이 뚫린 곳이 많다. 구불구불한 길을 끼고 마을들이 옹기종기 들어서 있다. 자연 하천을 따라 거미줄처럼 연결된 우리나라의 길은 확실히 낭만을 넘어 사람을 잡아끄는 그 무엇이 있다. 그런데 현대 들어 .. 풍수, 역학 2010.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