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포럼] 전세대책 정말 필요없나 정부가 한동안 만지작거리던 전세대책을 한쪽으로 밀어놓은 모양이다. 전세가격이 안정세를 보이고 있어 별도의 대책을 내놓을 필요는 없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한다. 현재 150가구 미만으로 제한된 도시형 생활주택의 가구 수 상한을 300가구 미만으로 늘리는 법안이 국회에 올라가 있어 그 통과를 .. 전문가 칼럼 2010.11.10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 금액대별 수익형상품 투자전략 박상언 금리상승 대비해 대출비율 최소화 계속되는 저금리에 마땅히 운용할 곳을 찿지못한 고객들의 수익형 부동산에 문의가 꾸준하다. 이자가 물가상승률을 밑도는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 서두르기보다는 안전하면서 물가상승률보다는 높은 수익률을 올리는 투자처를 시간을 가지고 차분히 찿.. 전문가 칼럼 2010.11.10
비수기에는 '저가'매입이 경쟁력 윤재호 잠재력 높은 지역 급매물 노려라 장기적으로 상승잠재력이 강한 지역 내 부동산을 골라야 경기 변동이 있더라도 불황의 몸살을 타지 않는다. 투자가치 높은 지역 부동산을 값싸게 사야만 장기적으로 경기의 부침을 덜타게 된다. 뉴타운과 재건축 등 지역 개발호재가 많거나 교통여건이 좋아지.. 전문가 칼럼 2010.11.09
DTI규제때문에 전세값이 상승한다 이원용 공급이 부족하다... 요즈음 화두는 남쪽 집값상승도 있지만 아무래도 전세값상승이 몇년은 더갈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것이 관심사일겁니다. 필자는 몇해전부터 DTI부작용에 대해 연일 성토하였습니다... 저의 뜻은 DTI규제로 당장 집값을 잡을수는 있지만 이것이 부동산 침체가와 신규분양.. 전문가 칼럼 2010.11.09
잠실지역, 강남권 부동산의 신 중심지로 뜬다 장경철 제2 롯데월드, 주변 아파트 재건축 등 호재 풍부 잠실지역이 강남권의 신주거 및 상권의 중심지로 떠오르고 있다. 잠실의 유래는 조선초에 양잠을 장려하기 위하여 잠실도회(蠶室都會)가 설치되되면서 잠실이라 불리어진 것이 지금까지 그대로 명칭으로 이어져 내려오고 있다. 잠실은 원래 섬.. 전문가 칼럼 2010.11.09
함(函)은 결혼식 전에 온다 윤정웅 지혜로운 사람은 신호따라 움직인다 신랑 측에서 채단과 혼서지를 넣어 신부 측에 보내는 나무 궤짝을 함(函)이라고 합니다. 밤중에라도 이웃에서 함 파는 소리가 들리게 되면 누구네 집 딸 시집간다는 소문이 들리게 되지요. 나하고 상관없는 일일지라도 내 집에 경사가 난 것처럼 마음만은 .. 전문가 칼럼 2010.11.09
코스피지수가 2000을 넘으면 주식자금이 서서히 부동산으로 이동한다 이주호 2000을 돌파하면 내수, 저평가된 부동산 전성시대다 경제논리상, 2005년 하반기~2007년 조선.철강 등 재래산업 큰 수출호경기 이후 2007년 하반기부터 내수호경기가 이어져야 하는데 안타깝게도 2008년 미국발 금융쇼크, 2010년 유럽발 재정위기로 이 내수호경기 도래가 지연이 되어 이들 쇼크, 위기.. 전문가 칼럼 2010.11.09
2011년 전세 대재앙 시대가 온다! 김부성 내년 2/4분기 이후 전세대란, 대재앙 수준까지 갈듯 현재의 전세난은 내년이후가 되면 더욱 심각한 양상으로 걷잡을수 없는 사태로까지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든 상황으로 시장이 변화되고 있음은 우려할만합니다. 2010.11월 7일자 매일경제 기사를 포함 각 언론보도들을 검토해보면 현재 .. 전문가 칼럼 2010.11.09
투자, 세상 모두가 행복함을 꿈꾼다! 자신 상황에 맞게 투자하라 이 세상에는 천재적인 아이디어 또는 뛰어난 사업수완을 가지고 부자 또는 재벌이 된 사람이 있다. 옛말에 큰 부자는 하늘이 내린다고 하지 않았는가. 큰 부자는 하늘이 내리지만, 작은 부자는 만드는 것이다. 부모에게 물려받은 것도 없고, 배경도 없고, 뛰어난 능력도 없.. 전문가 칼럼 2010.11.08
[아기곰의 부동산 산책] 통계로 보는 전세대란의 원인과 대책 매수세와 전세난의 상관관계 전세난이 문제라고 한다. 가을 들어 인기 지역을 중심으로 오르던 전셋값이 전국으로 퍼져나가고 있는 형국이다. 연간 상승률 기준으로는 2002년 이후 최대 폭의 상승을 기록 중이다. 문제는 이런 상승세가 가을 이사철에만 나타나는 일시적인 현상이 아니라 구조적인 문제.. 전문가 칼럼 2010.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