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0.25%P 오르면..아파트값 0.3% 떨어진다 본지, 주택산업연구원 의뢰 기준금리 7월 1.50%로 상승 가정 연 1.50% 1년 유지땐 1% 하락 주담대 금리도 12월 연 3.90% 매수심리 위축→집값 하락 고위험가구 부채 4.7兆 늘어 이자 압박·금융리스크 우려도 (자료사진) [아시아경제 주상돈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금리인상 시그널을 반복..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7
"어설픈 정부 대책이 집값 더 올릴 수도" 전문가 70%...“폭은 다소 둔화” 인기지역 수요 강해 규제 압도 가계부채비율ㆍ성장률 딜레마 [헤럴드경제=정찬수ㆍ김성훈 기자] 부동산 전문가들은 정부가 어설픈 규제책을 내놓을 경우 하반기 시장 안정은 커녕 오히려 집값 양극화와 서민주거 안정이 위협받을 것으로 우려했다. 규제..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7
분양권 프리미엄 흔들린다.."높아진 대출문턱에 전매 가능 분양권도 위축될듯" 서울에서 공급되는 공동주택의 분양권 전매를 전면 금지키로 한 ‘6·19 부동산 대책’은 분양권 거래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애초엔 이번 대책을 피해 전매가 가능한 분양권 시장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란 전망이 나오기도 했지만, 이런 예상과 달리 기존 분양권도 거래 위축과 더불..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7
"강남4구 가장 많이 오를 것" 52%..재건축 여전히 유망 용산·성수 등 한강변도 주목 '투기와의 전쟁' 학습효과로 실수요자 주택구입 서두를듯 정부규제로 공급 위축되면 강남집값 추가상승 부추길수도 ◆ 하반기 부동산시장 전망 / 부동산 전문가 40명 긴급설문 ◆ 정부의 '6·19 부동산대책'이 본격 적용될 올해 하반기에도 서울 강남4구 집값..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6
"투기로 집값 급등" 10%뿐..시장선 정부 '헛다리' 우려 부동산 전문가 40명 긴급설문 부동산시장 전문가 10명 중 6명은 최근 서울 집값의 급등 원인으로 '풍부한 유동성'을 꼽았다. '주택 공급 부족'을 요인으로 든 전문가도 20%에 가까웠다. '투기세력의 매수'를 답변한 사람은 10%에 불과해 김현미 신임 국토교통부 장관의 최근 강경 발언이 시장..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6
[부동산 Q&A] 6·19 대책,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은 전매제한으로 강북권은 실수요시장 위축 청약조정대상 지역·강남권 호황 이어갈 듯 실수요·분양권 거래 많았던 강북권 상대적 타격 LTV·DTI 기준 강화는 강남서 영향 크지 않을 듯 7월 3일 이후 입주자모집공고 승인분부터 대출규제 실수요자들, 이달 분양물량 중 입지 뛰어난 곳 주목..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6
주택·상가 임대차 대대적 손질 준비..법무부 사례연구 나서 계약갱신청구권·임대료 상한제 등 관련 해외사례 검토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문재인 정부 들어 주택·상가 임대차제도에 대대적인 변화가 예고된 가운데, 관련 법률의 소관부처인 법무부가 본격적인 사례연구에 나섰다. 25일 법조계에 따르면 법무부 법무실은 '주택 및 상가임..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6
'6·19 대책' 무풍지대 대구·광주, 전매 투자 집결 ‘6·19 부동산 대책’을 간발의 차이로 피한 대구와 광주의 부동산 청약 열기가 예사롭지 않다. 올해 4월 분양한 ‘수성효성해링턴 플레이스’ 견본주택 앞에 방문객들이 입장을 기다리며 길게 줄을 서 있다. /효성 제공 대구와 광주는 기존 주택 시장이 침체한 ‘시차(時差)’ 덕분에 이..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6
외고·자사고 폐지에 강남 땅값 상승? 나비효과 어디로 향하나? 사진= 연합뉴스 정부가 외국어고와 자립형 사립고(자사고) 폐지를 추진하면서 서울 강남의 부동산 가격 상승을 자극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는 우려 섞인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반고 중에서도 교육 여건이 우수하고 서울 주요 대학 진학률이 높은 이른바 '강남 8학군'에 자녀를 입학시..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5
하반기 부동산 시장 향방은.. "서울, 부산 집값 잡기에 달려" 과열됐던 부동산시장이 올 하반기 안정화할지 여부는 서울과 부산 과열 양상이 어느 정도 잡히는가에 달릴 것으로 예상된다. 연내 공급물량 증가와 금리인상 가능성 등이 있다. 이번 부동산 대책의 시장 반응을 면밀히 살피면서 내놓는 후속 대책이 더 중요할 전망이다. 23일 부동산 업계.. 일반(부동산 관련) 2017.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