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프

[송경서의 골프스킬] 무조건 몸통 꼬지말고 오른쪽 무릎 고정부터

웃는얼굴로1 2010. 10. 23. 00:03

비거리에 관한 조언중 가장 많이 듣는 얘기가 백 스윙때 몸통을 많이 꼬을수록 비거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이다. 백 스윙에서 상체의 회전을 많이 하면 ‘코일링 현상’이 생겨 다운 스윙때 스피드가 빨라져 많은 비거리를 낼 수 있다. 하지만 장타자들이 비거리를 내는 방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임팩트때 스위트스폿에 볼을 맞히는 것이다. 정확한 임팩트가 되어야만 볼을 멀리 보낼 수 있다. 정확한 임팩트는 백 스윙때 어깨와 허리의 꼬임도 중요하지만 상체의 꼬임을 충분히 만들어 내는 것에 신경을 써야 한다. 비거리를 내기 위한 강력한 백 스윙 만드는 법을 알아보자

사진①은 테이크 백(take back) 동작인데 상체 회전을 많이 하기 위해 안쪽으로 백 스윙이 이뤄지고 있다. 이처럼 몸을 먼저 돌리면 지나치게 스윙플레인에서 벗어나 안쪽으로 들어오는 잘못된 백 스윙을 하게 된다. 테이크 백이 안쪽으로 백 스윙의 톱에서 클럽이 타깃 방향으로 놓이지 않아 다운 스윙에서도 잘못된 동작으로 내려오게 된다. 이로 인해 정확한 임팩트가 되지 않는다.

사진②는 비거리를 많이 내기 위해 상체의 회전을 많이 한 상태다. 사진과 같이 체중 이동과 상체의 꼬임은 충분하지만 올바른 백 스윙 자세는 아니다. 비거리는 많이 얻을 수 있지만 볼을 정확하게 임팩트하는 일관성은 떨어지게 된다. 백 스윙때 자신의 왼쪽 어깨의 턴은 충분히 꼬여 있지만 어깨를 지나치게 돌리려 하기 때문에 이미 테이크 백에서 클럽과 손이 백 스윙 톱의 모양을 하게 된다. 지나친 백 스윙 동작, 즉 허리가 너무 많이 돌아간 탓에 오른쪽 무릎이 고정되지 못한 채 뒤로 빠져 버려 좋지 못한 백 스윙 자세가 되고 만다.

따라서 정확한 백 스윙을 하려면 사진③과 같이 자신의 오른쪽 무릎을 고정하고 백 스윙을 해야 한다. 오른쪽 무릎을 고정하면 충분한 어깨 턴을 할 때에도 하체가 고정돼 있기 때문에 더욱 탄탄한 어깨 꼬임을 할 수 있고 머리가 뒤로 따라가는 현상도 없어진다. 하지만 이때 오른쪽 무릎을 고정하더라도 허벅지까지 고정하면 손으로만 백 스윙을 하는 오류가 생길 수 있다. 그러므로 무릎을 고정하더라도 허벅지는 살짝 돌아간 자세를 취하면 정확한 백 스윙을 할 수 있다.

스윙디자인 골프아카데미 원장·golpro@hanmail.net

스윙 모델 = 신지은 KLPGA프로 의상 = FILA

촬영장소 = 필리핀 카바나투안 레이크우드G

사진 = 김동훈기자 dhk@munhw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