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

‘달동네 1번지’상계동 뉴타운마저 ‘삐끗’

웃는얼굴로1 2011. 9. 3. 16:14

-최근 일부 주민들 '상계뉴타운반대주민연합' 발족식 열어

 


서울 노원구 상계3,4동은 2005년 서울시의 3차뉴타운 중 한 곳으로 지정됐다.


서울 지하철 4호선을 타고 동북쪽으로 쭉 가다보면 종점인 '당고개'역이 나온다. 인근의 불암산과 수락산을 오르려는 등산객들이 우르르 내린다. 1번출구로 나오면 저 멀리 불암산 산자락의 모습이 보인다. 역 주변에는 상가와 재래시장이 몰려있고, 그 뒤로 단독 및 연립주택이 높은 언덕 너머로까지 밀집해있다. 이 일대가 바로 2005년 서울시의 3차뉴타운 중 한 곳으로 지정된 '상계뉴타운'이다.

 

서울의 대표적인 달동네로 꼽히는 노원구 상계동 일대에 64만7578㎡(19만6235평) 규모로 2016년까지 총 1만여 가구의 대규모 주택단지를 조성하는 것이 상계뉴타운의 주 내용이다. 현재 서울시 재개발 재건축 정보공개 서비스인 클린업시스템을 보면 1·3구역은 추진위원회 승인 단계에, 2·4·5·6구역은 조합설립 단계에 있다.

 

그러나 최근 뉴타운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부각되면서 이곳에서도 사업 반대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들린다. 지하철역을 벗어나오면 '뉴타운 급매물, 처분해드립니다', '뉴타운 상담 환영' 등의 팻말 뒤로 '뉴타운 환상 속에 원주민들 깡통찬다'라는 플래카드가 교차된다.

 

당고개역 재래시장에서 과일가게를 하는 한 상인은 "이 동네는 세입자가 특히나 많지만 집주인들도 돈이 없어서 뉴타운 사업을 진행할 형편이 못된다"라며 "뉴타운으로 지정된 당시에 일대 집값도 꽤 올랐는데, 최근에는 경기가 안좋다보니 주춤하다. 그래도 오른 가격이 떨어지진 않았다"라고 말했다.

 

지난 8월27일에는 일부 주민들이 모여 '상계뉴타운반대주민연합' 발족식을 가지고 사업취소 청원서명을 29일 노원구청장에 전달하기도 했다. 기존에 각 구역마다 반대활동을 펼치던 주민들이 조직적으로 모여 뉴타운 지정 해제를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김상도 상계뉴타운반대주민연합 총무는 "개발은 필요하지만 지금의 방식대로는 안된다. 뉴타운사업이라는 게 국가에서는 전혀 지원을 안받고, 주민들이 공공시설에 대한 부분까지 떠안기 때문에 부담이 크다. 추가분담금을 내지 못하는 원주민들은 외곽으로 밀려나게 될 것이고, 부동산 시장 침체기이니 만큼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도 사업을 못할 수밖에 없다"라고 말했다.

 

노원구에서 실시한 사업성조사 결과를 토대로 따져본 결과 대지지분 30평형, 건물 27평형을 가진 가옥주가 33평형대 새 아파트에 들어가려면 추가분담금이 약 2억원 가량 들고, 대지지분이 10평 미만이면 3억원 이상을 추가로 내야한다는 설명이 이어졌다.

 

상계동은 지난 18대 총선 당시 뉴타운 공약이 먹혔던 대표적인 곳이다. 전통적인 야당 강세 지역이었지만 당시 여당이 '뉴타운을 통해 집값을 강남 수준으로 높여주겠다'는 장밋빛 공약을 내세워 당선에 성공했다.

 

상계동에만 40여년을 살았다던 김수남(66세·가명)씨는 "처음에는 다들 뉴타운이 뭔지도 모르다가 집값 오른다고 하니까 좋게만 생각했다. 최근에는 하도 조합이랑 반대파가 말들이 많으니까 주민들이 '뉴타운' 얘기만 나와도 입을 닫아버린다"라고 말했다.


당고개역에서 바라본 상계동 모습. 현재 상계 1,3구역은 추진위원회 승인 단계에, 2,4,5,6구역은 조합설립 단계에 있다.

 

사업속도가 지지부진한 데 따른 피로감을 나타내는 주민도 있다. 3구역에서 보증금 500만원에 월세 30만원을 살고 있는 이민희(38세·가명)씨는 "집안에 곰팡이가 슬고 복도에 물이 새는 데도 나중에 재개발될 것을 기다리느라 집주인들이 집수리에 나서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전세, 월세 할 것 없이 가격도 다 올랐다"라고 밝혔다.

 

이에 노원구에서는 사업진척을 위해 용적률 상향, 시프트 도입 등 사업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나서고 있으며, 뉴타운반대주민연합에서는 사업시행 및 관리처분 인가가 나기 전에 사업 저지에 주력을 다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