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

둔촌주공 재건축사업 햇볕드나

웃는얼굴로1 2011. 8. 6. 01:21


강동구 최대 재건축 단지인 둔촌주공 사업 발목을 잡던 아파트와 상가조합 간 갈등이 해결되며 사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5일 강동구청에 따르면 둔촌주공 재건축 조합은 최근 구청에 아파트와 상가 조합을 하나로 합치는 '조합설립변경인가' 신청서를 제출했다. 아파트와 상가를 분리해 재건축을 추진하려던 기존 입장을 뒤집은 것이다.

사건의 배경은 아파트 조합이 창립된 2008년 말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아파트 조합 측은 상가 측과 협의체를 구성해 공동으로 재건축을 추진하자는 논의를 진행했지만 상가 동의율이 기대를 밑돌아 협상이 결렬됐다.

결국 2009년 말 상가와 별도로 재건축을 추진하는 방식으로 조합설립을 인가받았다.

하지만 수익성이 떨어진다는 주민 민원이 끊이지 않았다. 토지가치가 높은 상가를 배제하고 사업을 추진할 경우 추정되는 손해가 최대 수천억 원에 달한다는 불만이었다.

단지 내 상가가 총 7곳에 달해 아파트만 헐고 다시 지을 경우 기형적인 설계가 불가피하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상가 조합원 사이에서도 아파트 단지가 본격 재건축에 착수하면 배후수요가 사라져 사업에 반대할 실익이 크지 않다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결국 지난해 중순부터 양 조합은 재협상에 들어갔다.

1년간 지루한 밀고 당기기가 반복됐다. 상가조합 측에서 합병 동의 요건(전체 3분의 2 이상 찬성)을 충족했다고 아파트 조합에 알려온 것은 지난달 중순이었다. 전체 상가주 309명 중 230명이 동의해 74.4% 동의율을 기록했다.

이로써 둔촌주공 아파트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됐다.

기존에 수립한 정비계획은 대대적 손질이 불가피하다. 당초 계획은 재건축 이후 임대 포함 9090가구를 짓는 내용이었다. 총 가구 수가 소폭 증가하고 사업비도 낮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기존 상가 터를 설계에 반영해 주요 건물 재배치 작업에도 착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강동구청 관계자는 "현 상태로 사업이 순항한다면 약 1년 후에 재건축 사업이 사실상 개시되는 사업시행인가를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 덕에 시세도 소폭 오르고 있다. 인근 대일공인의 강성근 대표는 "조합 합병 소식이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호재로 작용해 호가가 1000만원가량 상승했다"고 말했다.

다만 아직 변수가 남아 있다. 둔촌주공 측에서 종상향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현행 2종 일반주거지역인 용도지역을 3종 일반주거지역으로 변경해 용적률을 대폭 높이겠다는 시도다.

재건축 이후 아파트 높이를 기존 계획인 30층에서 46층으로 높이고 가구 수를 1000가구 이상 추가해 수익성을 제고하겠다는 것이 조합 측 계획이다.

관건은 권한을 가진 서울시 입장이다. 서울시는 종상향을 추진 중인 송파구 가락시영을 상대로 한 차례 '재검토' 판정을 내린 바 있다.

가락시영 종 상향을 허가할 경우 서울 주요 재건축단지에서 비슷한 요구가 빗발칠 수 있다는 점이 서울시 부담이다.

가락시영 종상향 인가 여부는 이달 말 최종 발표할 예정이다. 둔촌주공 조합 측은 촉각을 곤두세우며 결과를 지켜보고 있다.

강성근 대표는 "가락시영 요구를 들어주면 형평성 차원에서 둔촌주공 종상향도 허가할 것으로 주민들은 보고 있다"고 말했다.

[홍장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