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강도 예상보다 낮아.. 주택 구매심리 부정적
주택가격 상승 모멘텀 둔화, 규제 빠진 지역 풍선효과
[이데일리 이진철 기자] 정부가 발표한 ‘6.19 부동산 대책’이 향후 주택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 지 관심이 쏠린 가운데 증권사 애널리스트들은 대체로 규제 강도가 당초 예상보다는 낮다는 평가를 내놨다. 이번 대책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전망이 주류를 이룬 것이다.
이선일 BNK증권 애널리스트는 20일 “정부가 주택담보인정비율(LTV)와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전면적으로 강화하지 않았다”면서 “예상과 달리 집단대출 전체에 DTI를 적용하지 않고 중도금, 이주비, 잔금 등 집단대출 중 잔금대출에 한해서만 DTI를 적용해 충격을 최소화했다”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가장 강력한 규제인 투기과열지구 지정도 이번 대책에서 제외됐다는 점에서 예상보다 온건한 대책”이라고 평가했다.
박현욱 HMC투자증권 수석연구위원은 “이번 6.19 대책이 지난해 발표된 11.3 부동산 대책의 적용지역 확대, 규제 강도 강화 등 시장의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에 그쳤다”면서 “일부 국지적 과열지역의 투자수요를 대상으로 규제를 발표했기 때문에 실수요 위주의 안정적인 가격 흐름은 유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부동산 과열 양상을 보인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6.19 대책이 심리적으로 수요 위축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전망도 있었다. 특히 이번 6.19 대책의 목적 중의 하나가 가계부채 건전성 악화 가능성에 대비한 측면도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정부가 8월 발표할 가계부채 관리 방안에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할 가능성을 제기했다.
진용재 하이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미약하기는 하지만 6.19 부동산 대책이 주택 구매심리에 비우호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전반적인 주택 가격의 상승 모멘텀도 둔화될 공산이 높다”고 전망했다.
조윤호 동부증권 애널리스트는 “부동산 대책이 예상보다 강도가 낮았던 이유는 정부가 미국 금리인상 기조, 입주 물량 급증 등과 같은 주택 가격 조정 요인이 있는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부동산시장이 관망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높지만 규제가 강화된 조정대상지역 이외의 지역으로 수요가 이전하는 풍선효과를 배제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국내 주택보급률은 외인가구를 포용하지 못하는 한계로 실제 보급률 대비 과대 평가돼 있고, 주택의 노후도를 고려할 때 서울·경기지역의 주택 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라며 “적절한 주택 공급이 가장 필요하다”고 말했다.
|
이진철 (cheol@edaily.co.kr)
'일반(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6·19 부동산 대책 이후..갭투자 강남 재건축 그들은 웃는다 (0) | 2017.06.21 |
---|---|
부동산대책 이어 입주물량도 급증..상승세 집값에 조정 오나 (0) | 2017.06.21 |
대신증권 "부동산대책, 약해..과열시장 대응 역부족" (0) | 2017.06.21 |
NH투자 "부동산시장, 하반기부터 조정국면 진입" (0) | 2017.06.21 |
'규제+금리+입주폭탄' 트리플악재 직면한 부동산시장..전망은? (0) | 201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