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많다...대출규제 영향없어”
압구정현대 석달새 33억→38억
거래 주춤...매물 나오면 불티
계약현장 값 올리기, 가로채기
[헤럴드경제=정찬수ㆍ김성훈 기자] “현대아파트 전용 198㎡ 매물이 지난 3월에 33억4000만원에 팔렸다는 뉴스가 났었는데, 최근엔 38억1000만원에 거래됐다. 규제에 대한 걱정이 적고, 참여정부의 학습효과까지 더해져 가격이 더 오르는 것 같다” (압구정 현대아파트 인근 Y공인 관계자)
“집값이 오르는 수식이 없어 이를 잡기는 불가능에 가깝다. 주택담보인정비율(LTV)ㆍ총부채상환비율(DTI) 등 대출을 조인다고 해도 목돈이 없는 실수요자들의 입장만 난처해질 뿐, 강남권에 투자하는 이들에게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강남구 A공인 관계자)
“규제 가능성이 커졌지만 아파트 자체가 안전자산이란 인식이 강해 규제가 적용되더라도 큰 영향은 없을 겁니다” (서초구 반포주공아파트 인근 B공인 관계자)
강남권 부동산 시장의 과열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시장에서 매물은 자취를 감췄지만, 투자자의 발길이 이어지면서 호가가 꾸준히 상승 중이다.
‘자고 일어나면 1억이 오른다’는 우스갯소리는 이제 ‘부르는 게 값’이 됐다.
KB부동산이 발표한 주간 주택시장 동향에 따르면 5일 기준 강남권 아파트 매매가격은 0.38% 올랐다. 12주 연속 상승한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0.08%)은 물론 서울(0.30%)을 크게 웃돈다. 강남 3구인 강남구(0.59%), 서초구(0.51%), 송파구(0.30%)가 재건축 단지의 영향으로 문의가 급증했다. 특히 강동구 아파트 매매가격은 0.67% 올랐다. 한쪽을 누르면 다른 한쪽이 부풀어 오르는 이른바 ‘풍선효과’로 이어진 것이다.
매수세는 5월 말부터 눈에 띄게 줄었다는 것이 현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정부에서 과열의 진앙에 메스를 들이대기 전에 지역의 집주인들이 먼저 움직인 셈이다. 하지만 매수가 줄었다고 시장의 기세가 꺾인 것은 결코 아니다. 매물은 나오자마자 자취를 감춘다. 하루라도 빨리 거래하려는 일부 투자자는 집주인을 직접 찾는다.
압구정의 한 공인 관계자는 “1월 17억~19억원 하던 한 재건축 단지의 매매가격은 현재 30억으로 10억 넘게 뛰었다 ”한 매수자는 37억에 계약하려 집주인을 만난 자리에서 5000만원을 더 부르자 37억3000만원에 합의를 보기도 했다“고 했다. 이어 ”계약하는 과정에서 다른 부동산이 집주인에 더 높은 가격을 제시해 가로채는 것도 다반사”라고 덧붙였다.
서초구 반포주공아파트 인근 D공인 관계자는 ”부동산 시장 전망은 금리부터 경기, 유동자금, 규제 같은 경제학적인 요소 외에도 인간의 심리가 끼어들어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다”며 “재건축을 추진하는 단지는 그 주변의 시세를 끌어올리고, 지역에서 밀려난 이들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서 해당 지역의 시세를 끌어올리는 연쇄적인 효과로 이어진다“고 풀이했다.
발표가 임박한 규제의 실효성에는 물음표가 붙는다. 강남구의 한 공인 관계자는 ”집값 상승을 견인하던 강남권의 위축은 정부 입장에서 보면 손 안 대고 코 푼 것“이라며 “실제 규제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란 목소리가 커 끊겼던 거래도 조금씩 나오기 시작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 출범으로 정치적인 불확실성이 사라지자 건설사들이 주택사업 전망을 긍정적으로 본 것도 같은 맥락이다. 매수 심리가 강해 서울을 중심으로 분양이 잇따르고, 분양가 상승이 뒤를 받치는 형국이다.
주택산업연구원이 6월 전국 주택사업경기실사지수(HBSI)를 조사한 결과, 지난달 전망치인 96.8보다 25.1포인트 상승한 121.9로 나타났다. 19개월 만에 기준선(100)을 넘었다. 특히 과열이 진행 중인 지역일수록 경기 전망은 밝았다. 서울(131.9) 외에도 부산(135.0), 세종(128.1), 경기(122.9) 등이 기준선을 넘었다. 건설사들이 하반기 이전 공급을 서두르고 있다는 의미다.
한편 정부는 이르면 내주 서울 강남 등에서 부동산 투기 단속을 벌일 예정이다. 분양권 불법거래부터 임시중개시설물인 ‘떴다방’이 단속 대상이다. 당국은 현장 단속과 함께 부동산 다운계약을 잡기 위한 실거래가신고시스템을 통해 거래 내용을 면밀히 살필 계획이다.
'토지(지역)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르포] 잘 나가서 걱정되는 망리단길 (0) | 2017.06.13 |
---|---|
[르포]11km 인제터널 품은 동홍천~양양 고속도로 평창 지원 성큼 (0) | 2017.06.12 |
경기도, 2030 안양 도시기본계획안 승인..안양교도소 부지 개발 본격화 (0) | 2017.06.10 |
부동산 훈풍 부는데..지방 공업도시는 찬바람 (0) | 2017.06.09 |
[르포]"1억 이상 다 올랐죠"..역세권·몰세권 파워 (0) | 2017.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