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뉴스

4월 주택가격 상승폭 확대..수도권·지방은 '온도차'

웃는얼굴로1 2017. 5. 1. 19:21

서울 주택 매매가 3월 0.13%→4월 0.23%로 강세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조기 대선과 대출 규제, 정책 불확실성 등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주택가격 상승 폭이 커졌다. 재개발·재건축, 교통망 개선 등 개발 호재가 있는 지역의 주택가격이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한국감정원이 30일 발표한 4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에 따르면 이달 전국의 주택가격은 0.10% 올라 지난달(0.06%)에 비해 오름폭이 0.04%포인트 커졌다. 이는 작년 4월(0.02%)에 비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서울의 주택가격은 지난달 0.13%에서 이달에는 0.23%로 급등했다.

 

구별로는 영등포구가 0.40%로 가장 많이 올랐고, 마포구(0.39%), 강서구(0.38%), 용산구(0.34%), 구로구(0.33%) 등이 뒤를 이었다. 주로 업무지구의 접근성이 양호하거나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추진으로 주거환경 개선이 기대되는 지역들이 강세다.

 

또 경기도가 지난달 0.04%에서 이번 달엔 0.10% 오르는 등 수도권의 매매가격이 지난달 0.08%에서 0.15%로 오름폭이 확대됐다.

 

지방은 0.05%로 지난달(0.04%)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 가운데 부산(0.28%), 강원(0.26%) 등은 상승했고 충남(-0.10%), 경북(-0.07%), 경남(-0.07%) 등지는 하락하는 등 지역별 온도차가 컸다.

 

주택 유형별로는 전국 아파트 0.06%, 연립주택 0.07%, 단독주택 0.21%를 기록하며, 아파트보다 연립·단독주택의 상승 폭이 높았다.

 

이에 비해 수도권에서는 아파트 0.16%, 연립주택 0.10%, 단독주택 0.17%로 모든 유형에서 3월보다 상승 폭이 확대됐다.

 

매매보다는 전셋값이 안정세다.

 

지난달 전국의 주택 전셋값은 0.07%로 지난달과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는 작년 동월 상승폭(0.10%)보다 낮은 수준이다.

 

지역별로 강원(0.22%), 서울(0.18%), 부산(0.15%) 등은 상승한 반면, 세종(-2.74%), 충남(-0.18%), 경북(-0.09%) 등은 하락했다.

 

이사 수요가 감소하고 입주 물량은 늘면서 전국의 주택 월세가격은 지난달보다 0.03% 하락했다. 유형별로 월세와 준월세는 각각 0.06%, 0.04% 하락했고 보증금 비율이 높은 준전세는 0.03% 상승했다.

 

[한국감정원 제공=연합뉴스]

 

sm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