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용가능 시유지 524만㎡, 여의도의 2배
-중점 활용 시유지 38만㎡
-공공청사ㆍ주차장ㆍ나대지 등 추후 임대ㆍ위탁 개발 가능성 높아
[헤럴드경제 =한지숙 기자] 서울시에서 공립유치원, 마을회관 등 공공시설이 들어설 가능성이 높은 토지는 149개소, 대지면적은 38만㎡인 것으로 조사됐다.
나대지 또는 건물이 지은 지 30년 안팎인 토지, 연면적 3000㎡ 이상으로 추가 개발 가능한 토지를 시는 ‘중점활용시유지’로 분류, 활용가이드를 따로 마련해 개발에 대응할 계획이다.
![](http://t1.daumcdn.net/news/201608/05/ned/20160805082203755csvm.jpg)
이제까지는 시유지의 체계적인 파악이 어려워 공공복지에 대한 수요가 있어도 즉각적인 부지 개발이 어려웠다.
시는 시유지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면적 300~1만㎡ 시유지 670곳, 총 127만㎡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화한 ‘공공토지자원 활용시스템’을 구축했다고 5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활용가능 시유지 별 면적, 역세권 500m 여부, 인접도로폭, 경사로, 건물 준공연도, 용도지역, 연면적 등 50여종의 정보를 담고 있다. 허용된 ID를 이용해 특정 부지의 정보를 열람해볼 수 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해 자치구와 공공기관 등은 공공수요에 맞는 시설 계획을 추진할 때 조건 별 검색을 통해 적합 부지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시의 부서 마다 신규사업을 추진할 때 적당한 부지를 찾기 위해 반복하던 행정 낭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http://t1.daumcdn.net/news/201608/05/ned/20160805082204018glac.jpg)
시에 따르면 전체 시유지는 총 5만7373필지, 8866만㎡다. 이 가운데 하천, 임야 등을 제외하고 지목(地目) 상 활용가능한 토지는 6%에 해당하는 1000여개소, 524만㎡다. 이는 여의도의 2배 크기다. 지목 상 활용가능한 시유지에서도 1만㎡ 이상인 대규모가 72개소, 389만7000㎡로 74.4%를 차지한다.
이번에 DB 구축 대상인 ‘300~1만㎡’ 중규모는 전체 시유지의 24.4%다. ‘100~300㎡’ 소규모는 376개소, 6만5000㎡다.
시는 중규모 시유지를 노후도, 개발 가용면적을 따져 149개소를 ‘중점활용 시유지’로 선별했다. ‘중점활용 시유지’는 활용가능 시유지의 7.3%(38만㎡)에 불과하다. 현재는 ▷공공청사, 문화복지시설, 버스차고지 등 공공건물 75개소(25만㎡) ▷주차장 59개소(11만㎡) ▷나대지 15개소(2만㎡) 등으로 쓰이고 있다.
시가 구축한 시스템으로 당장 활용이 가능한 부지의 시장가치 분석도 가능하다. 공시지가, 임대료, 주거인구, 직장인구, 유동인구, 접근성 등의 항목에 점수를 매겨 평균 값과 비교해 볼 수 있다.
재정사업, 임대사업, 위탁개발 등 다양한 형태로 개발 가능하다.
서울시는 앞으로 공공부지개발에 시유지 활용 원칙을 적용, 공공수요를 시 재정으로만 감당하느라 정작 필요한 공공서비스가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는 우려를 줄이고,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공공수요를 충족하느라 발생할 수 있는 미래세대 토지자원 고갈을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앞으로 소ㆍ대규모 시유지도 DB화해 2단계 시스템 개발에 나선다. 이달 용역을 발주하고 2018년까지 개발을 마칠 계획이다.
jshan@heraldcorp.com
'개발계획·개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규모 택지 공급 축소로 개발사업 규모 작아진다 (0) | 2017.03.10 |
---|---|
서울,부산영도,춘천 등 18곳 도시재생사업 본격 착수 (0) | 2017.01.18 |
한국형 '라데팡스' 만든다..역세권개발 나선 '코레일' (0) | 2016.08.06 |
서울형 캠퍼스타운 세부계획 짠다..권역별 모델 정립 (0) | 2016.08.05 |
부천 원종∼서울 홍대입구 지하철 건설 가시화 (0) | 2016.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