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전셋값 0.03% 상승에 그쳐…준전세 2년새 8%→20%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봄 이사철이 시작되면서 전세난이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와 달리 전셋값 상승폭이 예년보다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순수 전세거래는 줄어든 반면 전세에 가까운 월세인 '준전세'가 큰 폭으로 늘어난 영향이다.
2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순수 전세거래는 2014년 2월 75%를 차지했지만 2년 후인 올해는 62%로 줄었다. 반면 전세에 가까운 월세 즉 '준전세'는 8%에서 20%로 늘었다.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형태를 의미한다.
![자료:부동산114](http://t1.daumcdn.net/news/201603/25/akn/20160325112927369byrn.jpg)
김은선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계속된 전셋값 상승과 물량 부족 속에서 전세보증금의 안정성과 매물 확보 등을 위해 '자의반 타의반'으로 월세부담을 일정부분하는 수요자가 늘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3월 넷째 주 서울이 아파트값은 0.02%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관악(0.13%), 강서(0.10%), 마포(0.10%), 서초(0.05%), 성북(0.05%), 동대문(0.03%), 영등포(0.03%), 종로(0.03%)순으로 올랐다. 저가매물이 거래되면서 강동구 재건축이 상승했고, 관악구와 강서구 등에서 실입주 수요가 가격 상승을 지탱하였다.
신도시는 0.01% 가격이 하락했다. 산본(-0.07%), 김포한강(-0.05%), 분당(-0.03%)이 약세를 보였고, 동탄(0.02%), 평촌(0.01%), 일산(0.01%)은 상승했다. 경기?인천(0.00%)은 큰 움직임 없이 보합세를 나타냈다. 성남(-0.11%), 광명(-0.04%), 용인(-0.04%), 김포(-0.03%), 부천(-0.03%) 등이 하락했는데, 성남은 재건축 호재로 매매가격이 상승했지만 최근 수요가 주춤해지면서 시세가 내렸다.
전세시장은 서울(0.03%)과 경기?인천(0.02%)이 소폭 올랐고, 신도시는 0.01% 하락하면서 약세를 보였다. 서울의 경우 관악(0.40%), 마포(0.34%), 동대문(0.20%), 광진(0.13%), 영등포(0.13%), 성북(0.11%) 순으로 전셋값이 상승했다. 한편 강남(-0.11%), 서초(-0.07%), 송파(-0.04%), 양천(-0.03%)은 전셋값이 하락했다. 이주를 앞둔 재건축아파트로 전세선호도가 낮거나, 위례신도시 등으로 전세수요가 분산된 영향이다. 또 학군수요가 종료되면서 전셋집을 찾는 문의도 줄었다.
신도시는 전세수요가 줄면서 전세매물이 나가지 않자 산본(-0.06%)과 분당(-0.05%) 전셋값이 금주 하락했다. 한편 중동(0.06%), 일산(0.05%), 평촌(0.04%), 동탄(0.01%)은 전셋값이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고양(0.11%), 과천(0.10%), 파주(0.10%), 의정부(0.09%), 인천(0.05%), 시흥(0.05%), 광주(0.04%) 순으로 상승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 이사철인데 신도시 아파트 전세 하락..서울도 0.03% 상승 그쳐 (0) | 2016.03.28 |
---|---|
서울 아파트 값 3주 연속 소폭 상승.. 전세는 0.03% 올라 (0) | 2016.03.27 |
전국 아파트값 6주연속 '내림세'..전세는 상승유지 (0) | 2016.03.25 |
거래량 절반으로 줄었지만..서울 아파트값 계속 올라 (0) | 2016.03.23 |
서울 아파트값 2주 연속 상승 (0) | 2016.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