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

[3040 부동산 뉴리더] "주택임대관리업 정상궤도 올리는 게 목표"..박승국 라이프테크 대표

웃는얼굴로1 2016. 2. 12. 07:35

“작은 건축사 사무소에 다니다가 큰 회사로 옮겼는데 (그곳은) 책상에 오래 앉아 있는 사람이 일 잘하는 사람으로 평가받더군요. 전 일에 몰두하면 끝장을 보는 스타일인데 밤새워 일하고 아침에 옷 갈아입으러 집에 다녀왔더니 지각한 사람이 돼 있더라고요. 대기업 체질이 아니라고 느꼈어요.”

 

주택임대관리업체 라이프테크의 박승국(49) 대표는 대학에서 건축공학을 전공한 뒤 1995년에 한 건축사사무소에 입사했다. 맡은 일을 깔끔하게 처리하는 능력을 눈여겨본 한 선배가 1999년 자신의 건축사사무소로 스카우트했지만, 박 대표는 2년 뒤 회사를 그만두고 창업의 길로 나섰다.

 

박승국 라이프테크 대표는 주택임대관리라는 개념 자체가 생소했던 2000년대 초반에 대기업을 나와 임대관리업체를 차렸고, 회사는 10여년이 지난 지금 업계 1위가 됐다. 정부는 주택 임대시장 선진화를 위해 2014년부터 주택임대관리업을 육성하고 있다. /전재호 기자
박승국 라이프테크 대표는 주택임대관리라는 개념 자체가 생소했던 2000년대 초반에 대기업을 나와 임대관리업체를 차렸고, 회사는 10여년이 지난 지금 업계 1위가 됐다. 정부는 주택 임대시장 선진화를 위해 2014년부터 주택임대관리업을 육성하고 있다. /전재호 기자
박승국 대표는 정부 정책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등록한 주택임대관리업체가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택임대관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런 불합리한 점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했다. /전재호 기자
박승국 대표는 정부 정책에 따라 지방자치단체에 등록한 주택임대관리업체가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주택임대관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런 불합리한 점을 바로 잡아야 한다고 했다. /전재호 기자
박승국 대표는 “임차인에 월세를 안 내면 관리업체가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소송밖에 없다”며 임차인의 주거 안정 못지않게 임대인의 권한도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전재호 기자
박승국 대표는 “임차인에 월세를 안 내면 관리업체가 대응할 수 있는 수단이 소송밖에 없다”며 임차인의 주거 안정 못지않게 임대인의 권한도 보장돼야 한다고 지적했다./전재호 기자

 

“그때 회사 팀장이 엄청나게 못살게 굴었어요. 의자에 오래 앉아 있어 생긴 허리 디스크 때문에 잠시 자리를 비웠더니 ‘일하면서 허리 안 아픈 사람 있느냐’고 면박을 줄 정도였죠. 그때 그렇게 미웠던 팀장만 아니었어도 계속 회사에 다니고 있었을 텐데, 지금 생각해 보면 고마운 사람이죠.”

 

박 대표는 2001년 친구가 하던 공인중개사사무소 한쪽에 책상 2개를 놓고 주택임대 관리업을 시작했다. 2000년 전후로 다세대·다가구주택 주차장 규제가 강화되기 전에 주택이 대거 지어지는 것을 보고 이 집들을 대신 관리를 해줄 사람이 필요하다고 느꼈다고 했다. 책상 2개로 시작한 사업은 지금 자본금 5억원에 약 1800실을 관리하는 업계 선두주자가 됐고, 그 사이 임직원 수도 50명으로 늘었다. 박 대표는 올 1월 국토교통부로부터 정식인가를 받은 한국주택임대관리협회 회장도 맡고 있다.

 

◆ “임대관리업 등록 업체 불이익 너무 많아”

 

임대관리업은 크게 위탁 관리형과 자기 관리형으로 나뉜다. 위탁 관리형은 관리 업체가 임대인 대신 임차인한테서 임대료를 받거나 계약서를 쓰는 등 집을 관리하고 일정 수수료를 받는 방식이다. 자기 관리형은 관리 업체가 공실(空室) 위험을 감수하고 임대인에게 월정액을 입금해주는 방법이다. 대신 임대인은 시세보다 약간 적은 금액을 받는다.

 

작년 12월 기준 주택임대관리업 등록 업체는 174개로 이들 업체가 관리하는 주택 수는 1만4034가구다. 이 중 위탁 관리형이 1만2900가구, 자기 관리형이 1134가구다. 주택임대관리업 등록업체 수는 2014년 5월 30개(2974가구)에서 작년 6월 144개(8839가구)로 매년 급증하고 있다.

 

정부는 주택임대관리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이지만, 박 대표는 정부 정책이 오히려 걸림돌이 된다고 지적했다. 대표적인 예가 임대관리업체 등록제다. 박 대표는 “임대업을 하는 사람들이 가장 꺼리는 것 중 하나가 소득 노출인데, 등록 업체를 이용하면 소득이 노출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며 “이들은 미등록 업체를 선호하기 때문에 정부 말을 듣고 등록한 업체가 오히려 손해를 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7조(주택임대관리업의 등록) 등에 따르면 자기관리형으로 100가구 이상, 위탁관리형으로 300가구 이상 관리하는 업체는 시장·군수·구청장에 등록해야 한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2년 이하의 징역이나 2000만원 이하의 벌금을 내야 하지만, 박 대표는 단속이 제대로 되지 않아 선량한 업체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주택임대관리업체가 자기 관리형으로 주택을 관리할 때 의무 가입해야 하는 보증보험 상품도 보증료율이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했다. 관리 업체는 임대인에게 약정한 임대료를 지급하지 못할 때를 대비해 3개월치 월세의 1.08~5.15%를 보증료로 내야 한다. 관리 업체의 신용등급이 좋으면 최저 1.08%, 신용등급이 안 좋으면 최고 5.15%다. 신규 관리업체는 신용등급이 좋지 않은 경우가 많아 대부분 5.15%를 낸다.

 

예를 들어 월세 80만원짜리 오피스텔 300가구를 자기 관리형으로 관리하는 업체가 5.15% 등급을 받으면 3708만원(240만원 × 5.15% × 300)을 보험료로 내야 한다. 이는 주택임대관리업체 연간 영업이익의 20~30% 수준이다.

 

박 대표는 “주택임대관리업체를 양성화하려는 정부의 취지는 이해하지만, 등록 업체가 받는 불이익에 비해 얻는 혜택은 너무 미미하다”며 “등록 업체에 세금 감면 등 혜택을 더 줘야 한다”고 말했다.

 

◆ “뉴스테이 임대관리, 중소기업 참여 기회 늘려야”

 

국토부는 뉴스테이(기업형 임대주택)가 본격적으로 준공되면 주택임대관리업이 활성화되고 일자리도 늘어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박 대표는 뉴스테이를 짓는 대형 건설사들이 주택임대관리까지 직접 하게 되면 일자리가 많이 늘어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뉴스테이를 공급하는 대형 건설사들은 대부분 주택임대관리회사를 따로 두고 있다. 대우건설(047040)은 ‘푸르지오서비스’, 대림산업(000210)은 ‘대림코퍼레이션’이 소모품 교체, 세대 청소, 세탁 서비스 등을 제공할 예정이다.

 

박 대표는 “대형 건설사들은 주택임대관리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뉴스테이 공급과 관리를 모두 다 하려고 하는데 (새 직원을 뽑지 않고) 기존 직원을 활용하는 경우가 있다”며 “어떤 회사는 세입자가 변기가 막혔다고 전화를 했더니 변호사가 응대했다는 얘기도 있다”고 했다.

 

그는 또 “정부는 뉴스테이를 짓는 대형 건설사에 땅을 싸게 주고 건축 규제도 완화해주고 있는데 한 곳에 너무 많은 혜택을 주는 게 아닌가 싶다”며 “뉴스테이 임대관리를 일반 주택임대관리업체도 맡을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대표는 임대업을 하는 사람들에게 소득세 등 세금을 엄격하게 부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신 임대업을 오래 하려는 사람에게는 취득세와 양도소득세, 상속세를 과감하게 깎아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세입자의 주거 안정은 보장해야 하지만, 지나치게 세입자 위주로 돼 있는 것은 현실에 맞게 개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주택임대관리업체 입장에서 가장 어려운 상황은 세입자가 월세를 안 내는 경우인데, 월세를 안 낼 때 업체가 할 수 있는 것이 명도소송밖에 없다”며 “휴대전화 요금도 연체하면 신용 등급에 영향이 있는데 월세의 경우 세입자는 아무 불이익이 없고 관리업체나 임대인만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아직 걸음마 단계에 있는 우리나라의 주택임대관리업이 잘 정착할 수 있게 한국주택임대관리협회 회장으로서 정책 의견을 지속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라고 했다. 개인적인 목표는 라이프테크를 일본의 다이토켄타쿠나 레오팔레스21과 같은 대형 임대관리업체로 키우는 것이다. 다이토켄타쿠와 레오팔레스21은 관리 가구 수가 2014년 말 기준 각각 69만4205가구, 55만6207가구에 달하는 대표적인 주택임대관리업체다.

 

그는 “처음 주택임대관리업을 시작했을 때 임대 관리 계약서 양식도 없어서 막막했던 기억이 있다”며 “우리나라의 주택관리임대업이 정상 궤도에 오르도록 노력하고 장기적으로는 제대로 된 임대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만드는 게 꿈”이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