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전·월세보다 매매 거래건수가 더 늘고 있다. 전세 물건이 귀해지고, 전세금도 오른 상황에서 차라리 집을 사자는 수요자가 많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19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의 아파트 거래량 자료를 보면, 서울 25개 자치구 중에서 전·월세 거래 건수보다 매매가 더 많은 지역은 올해 1월만 하더라도 3곳에 불과했지만 3월에는 15곳, 이달 초부터 16일까지 22곳으로 증가했다. 지난해 3월(2곳), 4월(4곳)과 비교해도 매매 거래량이 늘었다.
↑ 수도권 매매가, 전세금 주간 가격 변동률 추이 /부동산114 제공
서울 아파트 매매가 상승률은 지난주와 같았다. 부동산114가 이달 10일부터 16일까지 수도권 아파트의 매매가 변화를 조사해 19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0.1% 올라 지난주와 상승률이 같았다.
서울은 성북(0.27%), 노원(0.18%), 금천(0.15%), 서초(0.15%), 영등포(0.13%), 송파(0.12%), 강남(0.11%), 강북(0.11%), 구로(0.11%), 중구(0.11%)가 올랐다. 성북은 하월곡동 월곡래미안루나밸리가 1500만원, 길음동 길음뉴타운 4단지가 1000만원 상승했다. 노원은 상계동 주공14단지가 500만~1000만원 올랐다. 금천은 독산동 주공14단지가 750만~1250만원 올랐다.
신도시와 경기·인천 아파트 매매가도 각각 0.03%, 0.05% 올라 지난주와 비슷한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도시는 광교 (0.10%), 동탄(0.07%), 평촌(0.06%), 일산(0.03%), 산본(0.03%), 분당(0.02%), 중동 (0.02%) 순으로 상승했다. 광교는 이의동 광교 e편한세상이 1500만원 상승했다. 동탄2신도시 시범단지인 청계동 우남퍼스트빌과 힐링마크금성백조예미지 등이 500만원 상승했다.
경기·인천은 김포(0.16%), 성남(0.11%), 안산(0.11%), 하남(0.10%), 광명(0.07%), 수원(0.07%) 순으로 올랐다. 김포는 걸포동 오스타파라곤 1, 2단지가 500만원, 사우동 진흥, 흥화가 1000만원 올랐다. 성남은 은행동 주공이 500만~1000만원, 중앙동 중앙동 힐스테이트 2차가 500만원 상승했다.
서울 아파트 전세금은 지난주와 같은 0.2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 아파트 전세금은 각각 0.02%, 0.1% 올라 3월 말부터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은 강동(0.47%), 강남(0.43%), 성북(0.40%), 노원(0.38%), 관악(0.35%), 동작(0.32%), 구로(0.28%), 서대문(0.28%)이 올랐다. 강동은 길동 강동자이가 1000만~2000만원, 둔촌동 둔촌주공아파트 4단지가 1500만원 상승했다. 강남은 역삼동 역삼 래미안이 1000만원 올랐다. 성북은 길음동 길음뉴타운 2, 4, 5, 7단지 가격이 500만~2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일산(0.07%), 산본(0.07%), 중동(0.06%), 파주운정 (0.06%), 분당(0.05%)이 올랐다. 일산은 정발산동 밤가시건영빌라 8, 9단지가 500만~1000만원 상승했다. 주엽동 강선 16단지 동문은 1000만원 올랐다. 산본은 주공11단지가 250만원 상승했다. 반면 동탄(-0.29%)은 하락했다. 동탄1신도시 반송동 나루마을월드메르디앙∙반도보라빌1차, 시범한빛현대아이파크는 500만원 떨어졌다.
경기·인천은 김포(0.31%), 고양(0.20%), 성남(0.15%), 용인(0.15%), 구리(0.11%), 남양주(0.11%), 의정부(0.11%), 인천(0.10%) 순으로 상승했다. 김포는 장기동 현대청송 1, 2, 3단지가 250만~500만원 올랐다. 고양은 고양동 푸른마을 2, 3, 5단지가 250만~1000만원 상승했다.
이미윤 부동산114 리서치센터 책임연구원은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강남권 재건축 투자 기대감과 일반아파트 매매 전환 수요 증가로 일정 상승률 수준은 유지될 것으로 보이지만, 상대적으로 경기·인천은 상승폭이 둔화되는 모습"이라며 "오른 가격에 부담을 느끼는 수요자들이 경기권의 신규 분양 물량에 눈을 돌리면서 당분간 상승률 수준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최신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 0.16% 상승..전세도 0.23% 올라 (0) | 2015.04.24 |
---|---|
3월 전월세 거래 16만1696건..전년동기比 13.6% 증가 (0) | 2015.04.24 |
가파른 전세난..내집마련 대출 늘고 전세자금 대출 줄었다 (0) | 2015.04.20 |
서울, 역세권 위주 매매 강세..용산 0.08%↑ (0) | 2015.04.19 |
[부동산시황]서울 아파트 전셋값 강세.."물건부족 원인" (0) | 201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