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뉴스

전국 아파트 한주간 매매가 0.15%, 전세값 0.25% 상승

웃는얼굴로1 2015. 3. 20. 08:03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값이 모두 올랐다. 최근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 수준으로 낮추면서 실수요자가 매매로 돌아서고 월세도 늘어나면서 전세물량이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감정원은 16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이 1주일 전보다 0.15% 오르고, 전세값은 0.25% 상승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말과 비교해 매매가격은 1.12%, 전세가격은 1.71% 각각 올랐다.

매매가격은 0.15% 상승해, 1주일 전과 오름폭이 같았다. 기준금리가 인하하면서 대출이자 부담이 줄어들어, 전세값 상승에 부담을 느낀 실수요자의 매수문의와 매매 전환이 늘어난 것이 원인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17%)이 지방(0.13%)보다 상승폭이 컸다. 시·도별로는 광주(0.39%), 대구(0.24%), 제주(0.24%), 서울(0.18%), 경기(0.17%), 충북(0.14%), 강원(0.13%) 등이 크게 올랐다. 세종(0.00%)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상승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추이./한국감정원 제공

서울의 경우, 강남(0.21%) 지역이 전 주보다 오름폭이 소폭 커졌다. 주요 재건축 단지들의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져, 매매 문의와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됐다. 강북(0.14%) 지역은 1주일 전과 상승폭이 같았다.

구(區) 별로는 강동구(0.40%), 강남구(0.36%), 양천구(0.30%), 성동구(0.27%), 도봉구(0.23%), 동대문구(0.22%) 등이 상승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값은 0.25% 올랐다. 0.23%를 기록한 1주일 전보다 상승폭이 커졌다. 기준금리 인하로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전세 물량 감소가 이어졌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는 수도권(0.31%)과 지방(0.18%) 모두 1주일 전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시도별로는 제주(0.57%), 광주(0.38%), 서울(0.33%), 경기(0.30%), 인천(0.28%) 등이 큰 폭으로 올랐다. 세종(0.00%)을 제외한 모든 시·도에서 상승했다.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지수 변동률 추이./한국감정원 제공

서울의 경우, 강북(0.29%) 지역이 1주일 전(0.24%)과 비교해 크게 올랐다. 봄 이사철이 가까워져 수요가 늘고, 신혼부부의 수요가 늘었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강남(0.37%) 지역은 재건축 단지 이주 수요와 반전세 전환이 늘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1주일 전보다는 오름폭이 소폭 줄었다.

구 별로는 강동구(0.78%), 서초구(0.66%), 강남구(0.64%), 성동구(0.45%), 노원구(0.44%), 영등포구(0.32%), 광진구(0.30%) 등이 올랐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