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장·업계 "연장 안되면 타격 커"
- 가계부채 `적신호` 딜레마
올해 부동산 시장을 가늠해볼 키워드 중 하나는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 연장 여부다.
정부는 지난해 8.29부동산대책에서 무주택자와 1세대 1주택자에 한해 DTI 규제를 오는 3월 말까지 금융권 자율적용에 맡기도록 한 바 있다.
얼어붙은 매매 거래에 훈기를 불어넣겠다는 의도였다. 이후 거래량은 점차 증가세를 보이면서 지난해 12월 전국 아파트 실거래 건수는 2006년 12월 이후 4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 "DTI는 부동산정책 심벌..심리적 효과 커"
조금씩 소생 조짐을 보이는데 3월 말로 DTI 완화가 종료되면 싹이 피기도 전에 다시 찬바람이 불 것이란게 업계의 우려다.
이미 건설업계는 정부에 DTI 완화를 1년간 연장해 줄 것을 건의한 상태다. 정부는 2~3월 시장 상황을 봐서 판단하겠다는 방침이다.
대한건설협회 관계자는 "거래량이 늘었다고는 하지만 과거 몇년간 평균치와 비교하며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라면서 "지난해 가을 이후 계절적 이사 수요가 포함된 것도 감안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도 DTI 완화 연장 여부가 주된 초점이다. 박원갑 부동산1번지 연구소장은 "DTI 규제 완화가 현재 부동산 정책의 상징처럼 돼 버렸다"면서 "심리적인 영향이 커서 DTI 완화가 종료되면 집값 하락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모간스탠리도 아파트 거래량 증가에 대해 "DTI 완화 종료 전에 수요가 몰린 것으로, 거래 증가는 일시적인 것"이라고 최근 분석했다.
◇ 2,3월 시장상황에 따라 결정될 것
지난해 하반기 거래량 증가는 급매물이 소진됐기 때문이며 일반 물량은 여전히 거래가 되지 않고 있어 DTI 완화를 연장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박합수 국민은행 부동산팀장은 "급매물이 소진된 이후 1월 들어서는 거래량이 줄면서 매수 의욕이 사그러드는 분위기"라면서 "전세 수요가 자연스럽게 매매로 갈아타기 위해서도 DTI 완화 연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박 팀장은 이어 "국토부에서는 이런 점을 염두에 두고 DTI 완화 연장에 조금이나마 무게가 실리는 것 같지만 금융당국의 판단이 관건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금융당국으로서는 가계 부채가 크게 늘면서 적신호가 들어온 상태라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더군다나 올해 추가적인 금리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DTI 완화 연장은 부담스럽다.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지난달 중순 기자들과 만나 DTI 완화 연장과 관련 "3월까지 한시적으로 유예하겠다는 대전제는, 가능하면 3월에 그치겠다는 취지"라면서도 "정책은 살아있는 것인 만큼 1, 2월 이사철 부동산시장 상황을 봐가면서 더 이상 할지 말지 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가 투자, 분양가 적정선 따져라 (0) | 2011.02.05 |
---|---|
“집값 바닥 찍었다 올핸 오른다” "전셋값 하반기엔 진정” (0) | 2011.02.02 |
신분당선 개통 임박, 인근 상권은 들썩 (0) | 2011.02.02 |
[이남수의 부자부동산]오피스텔 성공투자를 위한 6가지 체크포인트 (0) | 2011.02.01 |
강남, 강북에 이어 이제는 신도시가 대세다 (0) | 2011.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