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대통령 천도론 무산으로 과천정부청사·세종시 등 '서얼'들이 태어나…
풍수의 핵심은 地氣 모이게 하는 것
지난번 글에서 청와대 터를 다루었다. 1000년 가까이 도읍지(궁궐) 역할을 하면서 우리 역사에 기여한 공로는 무시하고 불행한 일들만 들춰내는 세속의 야박함을 이야기하였다. 동시에 필자는 청와대 터가 그 용도를 다했다는 말로 마무리하였다. 왜 그럴까?
집무처 청와대를 떠나려고 했던 전직 대통령이 둘 있었다. 국운을 생각할 때 청와대를 옮기는 것이 옳다고 판단한 것이다. 박정희와 노무현 전 대통령이 그들이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의 수도 입지에 대한 고민은 진지했다. 그는 6·25 전쟁 직후 이승만 정권이 새로운 곳에 수도를 건설하지 못한 것을 아쉬워했고, 그 자신이 대덕 연구단지를 만들 때 그곳을 행정수도로 생각하지 못한 것을 후회하였다. 그러한 고민 끝에 1977년 '임시행정수도' 건설을 발표했다. 당시로서는 충격적인 긴급뉴스였지만 박 전 대통령의 입장에서는 오랫동안 구상한 일이었다. 그가 새로이 행정수도를 옮기고자 한 까닭은 인구집중, 국토의 불균형발전 등 복합적이었지만 북한의 사정거리 안에 서울이 들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였다. '임시행정수도' 건설을 위한 기획단(단장·오원철)이 구성됐고, '백지계획'이란 암호 아래 준비가 진행되었다. 2년 후인 1979년 5월 대통령에게 최종안이 보고되었고, 재가를 받아 실행만을 남겨둔 상태였다. 충남 공주시 장기면 일대가 그 예정지였다. 그러나 1979년 대통령 서거와 함께 '백지계획'은 문자 그대로 백지화되고 말았다.
그로부터 20여년 후인 2002년 당시 노무현 민주당 대선후보는 국가 균형발전을 위해 충청권에 '신행정수도건설' 공약을 내세웠다. 대통령에 당선된 뒤 그는 신행정수도건설추진단(단장·이춘희)을 만들게 하였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위헌판결로 행정수도 이전은 좌절되었다. 대신에 행정부처만 옮기는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안'으로 축소·변경되어 지금의 세종시가 탄생하게 된다. 흥미로운 것은 박 전 대통령이 잡은 공주 장기면과 지금의 세종시가 인접하면서 금강변에 자리한다는 점이다.
청와대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던 두 대통령의 천도론이 무산되면서 '서얼'들이 태어났다. 과천정부청사, 대전정부청사, 세종시 그리고 혁신도시들이 그들이다. 이제 대통령 집무처만 경복궁 후원인 청와대에 남고 국가 중추기관들이 대부분 떠나게 된 셈이다. 국무총리실도 금년 말에 떠난다. 풍수의 핵심은 땅의 기운이 흩어지지 않고 모이게 하는 것이다. 땅의 기운이란 것도 결국은 사람이 있음으로써 그 모이고 흩어짐도 의미가 있는 것이다. 청와대는 그 용도가 다했다고 한 것은 사람이 흩어지고 기운이 흩어졌기 때문이다. 어떻게 해야 할까? 좀 더 이야기가 필요하다.
'풍수, 역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로 보는 부동산] 용의 승천 가로막혔던 용산 땅…위협 사라지며 힘찬 地氣 분출 (0) | 2012.03.25 |
---|---|
[풍수로 보는 부동산] 암반은 뼈, 흙은 살, 지하수는 피 (0) | 2012.03.19 |
높이 솟은 집엔 재물이 안들어…주변과의 조화가 '家相'의 기본 (0) | 2012.03.12 |
현관문 위치·모양따라 재물運…가급적 낮은 곳에 작게 만들어야 (0) | 2012.03.05 |
타로난 얼굴로 상대의 심리를 엿 볼 수 있다. (0) | 2012.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