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발·재건축

잘나가던 개포 재건축 내홍으로 `삐걱`

웃는얼굴로1 2011. 9. 17. 13:35

잘나가던 개포지구 재건축에 `제동`이 걸렸다. 조합장 등 집행위원들 적격 여부, 사업성 등이 도마에 오르며 조합원 간 갈등이 깊어진 게 배경이다.

 

16일 재건축업계에 따르면 개포시영 조합원 100여 명은 현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추진하는 정비 사업에 반대하는 단체인 비상대책위원회를 결성했다.

 

이들은 추진위원들 적격 여부, 사업성 등을 문제 삼으며 개선을 요구하고 나섰다.

 

특히 최근 추진위가 위원회를 열고 추진위원 연임 안건을 통과시켰는데 이 과정에서 갈등이 크게 표출됐다. 추진위원 연임은 주요 결정사항이므로 전체 조합원 의견을 물어야 한다는 것이 비대위 측 주장이다.

 

이에 관해 추진위 관계자는 "추진위원회를 열어 추진위원 연임을 결정하는 것은 `도시ㆍ주거환경정비법`에 명시된 내용"이라며 "위원장과 감사는 이르면 11월에 주민총회를 소집하고 경선을 거쳐 선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개포지역을 대표하는 대단지인 주공1단지 역시 전임 조합장이 송사에 휘말리면서 현재 법원이 선임한 조합장 대행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전임 조합장인 P씨가 조합 정관이 제시하는 조합 임원자격을 충족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 서울중앙지법 판단이다. 전임 조합장 P씨는 거주 요건 일부를 충족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P씨는 법원에 항소를 제기한 상황이다. 항소심 결과에 따라 P씨가 조합장으로 복귀할지, 조합총회를 열어 조합장을 재선출할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재건축 사업성을 놓고도 이견이 많다. 부분 임대 건립이 대표적이다.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개포 일대 재건축 사업 추진 시 일부 가구는 별도로 독립된 주거공간을 둬 임대가 가능하도록 한 `부분 임대` 주택으로 짓게 돼 있다. 이에 대해 일부 조합원은 "3.3㎡당 4000만원에 육박할 정도로 고가 주거지로 조성되는 지역에서 부분 임대를 강제하는 건 이해가 안 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하듯 최근 개포 일대 재건축아파트 거래는 한풀 꺾였다. 개포1단지 공급면적 49.5㎡가 추석 전후 8억3000만원에서 8억2000만원으로 호가가 1000만원 정도 빠졌지만 매수세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