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원하게 흘러가는 북한강과 홍천강이 하나가 되는 곳, 그리고 푸르른 장락산맥(왕터산)을 배경으로 멋진 산수화를 그려내고 있는 곳. 벌써 한여름 무더위가 느껴지던 6월 중순, 우리나라 북부권의 대표적인 전원벨트 중 하나인 '가·춘·홍'을 찾았다.
'가·춘·홍'은 필자가 가평(경기)과 춘천·홍천(강원)의 첫 글자를 따서 만든 신조어다. 조금 억지스럽게(?) 신조어를 만든 이유는 북한강과 홍천강, 장락산맥이 어우러진 이 전원벨트가 가평·춘천·홍천 등 3개 지자체의 경계지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와 송산리, 춘천시 남면 박암리와 관천리, 그리고 홍천군 서면 모곡리와 마곡리이다.
산과 물이 어우러진 이곳은 빼어난 풍광을 갖춰 전원생활 입지로 그만이다. 특히 지난 2009년 경춘고속도로(설악·강촌IC 이용) 개통으로 서울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면서 더욱 관심을 모으고 있다. 다만 탁월한 입지를 갖추었기에 그만큼 몸값도 꽤나 비싼 편이다.
![]() |
'가·춘·홍' 일대 위치도 |
■가평군 설악면 미사리·송산리
북한강과 홍천강을 끼고 있는 미사리와 송산리는 특히 봄 낚시터로 유명하다. 미사리는 북쪽으로 홍천강이 흐르고, 동쪽으로 장락산맥이 병풍처럼 둘러싸고 있다. 남서쪽에는 '가평1경(景)'인 청평호가 아름다운 수변풍광을 뽐낸다.
가평군 문화관광과 담당은 "미사리라는 이름은 이 지역에 미륵불이 있어서 미사 또는 메수내로 부르던 것이 후에 미사리로 되었다고 전해진다"고 들려줬다. 자연마을로는 운담, 장성배기, 메수내 등이 있다. 장성배기는 마을에 장승이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 |
가평 미사리 |
가평군은 송산리 굼치 일원에 이 지역의 역사와 문화자원을 활용한 자연생태, 레저·스포츠 등을 즐길 수 있는 수변생태공원을 조성중이다.
■춘천시 남면 박암리·관천리
박암리는 청평호 상류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마을로 남쪽으로는 홍천강이 흐른다. 자연마을에는 웃말, 본말, 함바지(하리) 등이 있다. 본말은 박암리의 중앙 벌판에 있는 마을이라 붙여진 이름으로 중리라고도 부른다.
춘천시는 홍천강을 바라보며 트레킹과 산악자전거를 즐길 수 있는 가정리~박암리 구간 임도 개설공사를 오는 9월 완공할 예정이어서 이 지역의 전원환경은 더욱 좋아진다. 박암리에는 열행(烈行)전설도 전해진다.
![]() |
춘천 박암리 |
박암리에서는 홍천강 건너편으로 아담한 왕터산(410m)이 보인다. 이 산은 장락산에서 깃대봉과 화체봉을 거쳐 산줄기가 5㎞ 정도 뻗어 내려오다가 홍천강에서 끊어지는 끝자락에 있다. 산 이름은 옛날에 왕이 머물렀던 곳이라는 데서 유래하는데, 고려 때 공민왕이 홍건적의 난을 피해 가는 도중에 이곳에 머물렀던 것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홍천군 서면 모곡리·마곡리
홍천강 하류인 모곡리에 들어서면 홍적평야로 불리는 비교적 넓은 평지가 펼쳐진다. 그래서 모곡리는 홍천 서면에서도 농업의 중심지 역할을 했다. 자연마을로 도리소, 돌댐이, 밤벌, 보릿골, 점터 등이 있다. 마을 이름에 대해 한 주민은 "도리소는 예전에 소가 있었다 하여 생긴 이름이고, 돌댐이는 강물이 넘쳐 들어오지 못하게 돌로 쌓은 담이 있어 돌댐이라 부른다"고 알려줬다. 또 도리소 동북쪽에 있는 밤벌은 밤나무가 많아 붙여진 이름이란다. 밤벌유원지는 오토캠핑장으로 찾는 이들이 많다. 이쯤되면 보릿골은 보리가 잘된다 하여 생긴 지명이란 것쯤은 쉽게 감이 잡힌다. 점터 또한 예전에 옹기점이 있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고 한다. 모곡리에는 정부가 지원하는 홍천1호 전원마을과 전원단지들이 조성되고 있다. 이곳 모곡리 문화재로는 한소 남궁억묘역이 있다.
![]() |
홍천 모곡리 |
(헤럴드경제 객원기자,전원 & 토지 칼럼리스트,cafe.naver.com/rmnews)
'전원주택·인테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원생활도 재테크다…귀농ㆍ귀촌 시골생활 10계명 (0) | 2011.06.18 |
---|---|
"주말엔 농촌으로 " 양평ㆍ충주 전원주택 뜬다 (0) | 2011.06.18 |
농막에 대해서... (0) | 2011.06.16 |
전원생활도 재테크다…귀농&귀촌용 땅 구하기 20계명(하) (0) | 2011.06.13 |
인기 많은 `땅콩주택`, 탈도 많네! (0) | 2011.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