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추석이후 재테크 / 부동산 ◆
아직 집이 없는 사람들이 부동산 관련 종사자들을 만나면 가장 먼저 묻는 질문이다. 매일경제 50인 전문가 설문조사에서 44%의 전문가가 주택 매입 적기로 내년 하반기를 꼽았다. 지난 6월 말 같은 질문에 대해 '내년 하반기'라고 답한 비율은 32.5%였지만 이번 조사에서 답변 비율이 올라갔다. 당시 올 하반기가 주택 매입 적기라고 본 전문가도 32.5%나 됐지만 이번 조사에서 올 4분기라고 답한 전문가는 26%로 줄었다. 정부가 집값 안정을 위해 강도 높은 규제 카드를 손에 쥐고 필요할 때마다 하나씩 추가로 내놓고 있기에 일단 관망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한 것이다.
윤지해 부동산114 책임연구원은 "내년 하반기쯤 정부가 사용할 수 있는 규제 카드가 모두 소진될 것"이라며 "불확실성이 사라진 내년 하반기가 주택을 매입하기에 가장 좋은 시기"라고 밝혔다.
대규모 입주 물량이 예정돼 있다는 점도 전문가들이 내 집 마련 타이밍으로 내년 하반기를 꼽는 이유다. 시장원리에 따라 공급이 많아지면 주택 가격은 자연스럽게 내려가기 마련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내년 하반기 서울 입주물량은 2만4191가구에 달한다. 반기별 입주물량으로 2015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올 하반기 서울 입주물량은 1만1503가구에 그칠 전망이다.
박합수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부동산전문위원은 "입주물량이 일시에 몰리면 전세가격 하락과 함께 집값도 일시 조정을 받는다"며 "내년 말 대단지 입주가 몰려 있고 입주기간이 6개월가량인 점을 감안하면 내년 하반기 중에서도 후반부에 집 사기 좋은 여건이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수요자들은 관심 지역의 입주물량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 부산의 경우 내년 상반기 입주물량이 1만4413가구로 올 하반기 1만1421가구보다 3000가구가량 많다. 경기도 입주물량은 올 하반기 9만4171가구, 내년 상반기 8만7068가구, 내년 하반기 7만6298가구다.
김세원 내외주건 이사는 "내년에는 화성, 세종, 김포, 남양주에 입주가 많고 2019년에는 강동·송파에 주택 공급이 대거 이뤄진다"며 "강남, 서초, 양천, 서울 도심 등에서 집을 사고 싶다면 당분간 이 지역에서 예정된 입주물량이 없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내 집 마련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일경제 용환진 기자 / 이윤식 기자]
'일반(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집값 오르거나 현수준 유지" 80%..마포등 서북권 유망 (0) | 2017.10.02 |
---|---|
전국집값 하락 초입..강남불패는 여전 (0) | 2017.10.02 |
홍콩·베이징·상하이 세계 최고 집값 싹쓸이..서울, 아파트 14번째로 비싼 도시 (0) | 2017.10.02 |
올해 어떤 아파트가 많이 올랐나?..서울 상승률 톱 10 아파트 (0) | 2017.10.02 |
[추석이후 부동산] ④정부 추가 대책 줄줄이 대기 (0) | 2017.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