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부동산 관련)

[8.2대책 이후 설문조사] "분양시장,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 29%

웃는얼굴로1 2017. 9. 15. 10:48
소비자가 생각하는 8·2대책 이후 수도권 분양시장 전망. /자료=닥터아파트

청약자들은 분양가 상한제가 확대될 경우 분양시장이 ‘로또시장’으로 변질 될 수 있다며 우려했다. 
        

13일 부동산 리서치회사 닥터아파트에 따르면 만 20세 이상 회원 1206명을 대상으로 지난 4~10일 8·2부동산대책 이후 분양시장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조사 결과 8·2대책 이후 분양시장은 투기수요가 줄고 실수요자 위주로 바뀔 것이라는 긍정적인 응답이 전체의 29.1%로 가장 많았다.


반면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로 수도권 분양시장이 로또시장(투기시장)이 될 것(20.9%)이라는 우려도 많았다. 또 비조정대상지역에 청약이 몰리는 풍선효과가 발생할 것(20.2%)이라는 응답자도 있었다.


소비자가 생각하는 8·2대책에서 가장 반대하는 청약제도 설문결과. /자료=닥터아파트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확대의 문제점으로는 ‘시세차익이 확대되면서 분양시장이 로또화 될 것’(42.5%)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건설사의 민간택지 아파트 공급물량 감소(15.7%), 재개발 재건축 등 정비사업의 사업성 악화로 아파트 공급물량 감소(14.9%) 등 공급물량이 감소할 것으로 우려했다.


가장 찬성하는 8·2대책으로는 조정대상지역 청약1순위 자격요건 강화(27.6%)를 꼽았다. 이어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가점제 확대(18.7%), 분양가 상한제 확대(17.9%) 순으로 지지했다.


반면 가장 반대하는 청약제도로는 조정대상지역 중도금 대출규제(세대당 대출건수 1건 및 투기지역 추가 중도금 대출금지)라는 응답이 44.8%로 압도적이었다.


이어 조정대상 지역 및 투가과열지구 가점제 확대(13.4%), 조정대상지역 청약1순위 자격요건 강화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확대가 각각 11.2%를 차지했다.

 

한편 8·2대책 이후 주택청약을 하는 이유로는 새 아파트로 갈아타기 위한 교체수요(38.1%)와 내 집 마련(31.3%) 등 실수요가 69.4%를 차지했다. 당첨 후 분양권 전매(9.7%)를 하거나 입주 후 매도(8.9%), 입주 후 전월세를 준 뒤 매도(6.7%) 등 투자용이라는 응답은 25.3%에 그쳤다.


머니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