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부동산 관련)

슬그머니 문 여는 강남 부동산.."호가도 슬금슬금"

웃는얼굴로1 2017. 7. 7. 21:29

“너무 오래 비워둘 수 없어 나왔죠. 3주나 비웠는데, 계속 문을 닫아 놓을 수도 없는 노릇이고요.”

 

서울 강남구 대치동의 한 상가의 중개업소 절반가량이 문을 열고 영업을 하고 있다./이상빈 기자

 

‘6·19 부동산 대책’ 직전에 시작된 정부 합동 투기단속이 3주째 계속되면서 그동안 집단 폐업에 들어갔던 강남 중개업소들이 영업 전선으로 다시 나오기 시작했다. 중개업소 영업이 시작되면서 아파트 호가도 슬슬 따라 오르기 시작했다.

 

5일 찾은 서울 강남구 개포·대치동 일대 부동산 중개업소의 절반가량은 문을 열고 영업에 나섰다. 휴대전화 등을 통해 영업하는 업소들도 여전히 많았다.

 

문을 연 부동산들은 오래 쉴 수 없어서 문을 열었다는 분위기지만, 혹시나 단속반이 들이닥칠까봐 적잖이 긴장하는 모습도 보였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인근 M공인 관계자는 “원래 하고 있던 거래들이 끊길까봐 나왔다”며 “어느 정도는 휴대전화로도 할 수 있는데, 너무 휴업이 길어지면 다른 중개업소와의 경쟁에서도 뒤처질 수 있어 불안하지만 영업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개포동 B공인 관계자는 “언제 또 단속반이 뜰지 몰라 문을 잠그고 전화로 미리 연락을 한 손님만 안으로 들여보내고 있다”고 했다.

 

대치동의 한 공인중개사는 “영업 중에 단속반이 들어왔다”며 “최근 거래한 계약서 내용을 확인하며 구체적인 사항들을 꼬치꼬치 물었다”고 말했다. 그는 “질문이 너무 꼼꼼해서 답하기 부담스러울 정도였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지난달 13일부터 부동산 투기를 잡기 위해 대표적인 과열 지구로 꼽히는 서울과 부산, 세종시를 대상으로 부동산 시장 집중 단속에 들어갔다. 지방자치단체·국세청과 합동으로 현장 점검반을 꾸려 불법 전매와 청약통장 매매, 다운계약(실거래가를 낮춰 신고하는 행위), 떴다방 등 불법 중개행위 여부 등을 확인했다. 정부 단속이 시작되자 해당 지역 부동산들은 대부분 문을 닫고 영업을 중단했다.

 

부동산 업계는 정부 단속이 시작된 이후 확실히 문의전화도 줄고, 거래도 줄었다고 입을 모았다. 대치동 E공인 관계자는 “단속이 느슨해지면서 문의 전화나 방문 고객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여전히 단속 전인 5월과 비교하면 썰렁한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날 개포동의 한 중개업소에서 매매 상담을 하던 황모 씨는 “단속이 대체 언제쯤 끝나냐”며 “집을 팔고 새로 사야 하는데 제대로 상담을 할 수 없어 피해를 보고 있다”고 말했다.

 

대책 이후 떨어졌던 호가는 조금씩 오르고 있다. 6·19 대책 이후 11억3000만원까지 떨어졌던 개포주공 1단지 전용 42㎡는 11억5000만~11억6000만원 정도로 호가가 올랐다.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84㎡는 지난달 13억6000만원에서 최근 14억1000만원까지 호가가 상승했다.

 

E공인 관계자는 “강남권에서 재건축으로 돈을 번 사람들이 또 주변 물건들을 구하러 다니고 있다”며 “매도 문의보다 매수 문의가 더 많으니 대책과 상관없이 호가가 오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김재언 미래에셋대우 부동산세무팀장은 “아직 금리가 낮은 상태에서 목돈이 갈 데가 없다 보니, 고액 자산가들의 부동산 투자 열기는 꺾이지 않았다”며 “8월에 예고된 추가 대책을 살펴보려는 경향 때문에 투자 거래가 활발한 편은 아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