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지(지역)자료

바닥 모를 제주 부동산의 추락.."미분양 1000가구에 청약 꼴찌, 집값 하락까지"

웃는얼굴로1 2017. 6. 30. 21:20

제주 부동산이 바닥을 모르고 추락하고 있다.

 

제주도 미분양 추이. /최문혁 기자, 자료=국토교통부

 

지난 달 미분양이 1000가구에 육박한 데다 올해 들어 청약 경쟁률은 전국에서 바닥을 기고 있다. 아파트값도 하락하기 시작했다.

 

중국인 투자 감소 등의 여파로 주택 시장 침체가 이어지면서 시장 활성화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달 제주도 전체 미분양은 971가구로 조사됐다. 지난해 말 미분양이 271가구였는데, 5달간 3배 넘게 늘었다.

 

제주도 미분양 가운데 대부분은 제주시에 쏠려 있다. 제주도청에 따르면 올해 4월 기준 제주도 미분양(914가구) 가운데 제주시(786가구)의 비중은 86%다. 급증한 미분양 탓에 제주시는 올해 4월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지정하는 미분양 관리지역에 포함됐다. 미분양관리지역에 포함되면 주거용 오피스텔을 포함한 공동 주택을 공급할 때 분양보증 예비심사를 받아야 한다. 정부가 주택 공급을 조절해야 하는 지역이 된 것이다.

 

바닥을 기는 청약 경쟁률을 보면 제주 미분양 증가가 이해된다. 부동산 114에 따르면 올해부터 이달 20일까지 제주도 신규 분양 단지의 평균 청약 경쟁률은 0.55대 1에 그친다. 제주도 일반 분양 464가구 가운데 순위 내 청약 신청은 256가구에 불과했다. 1순위 청약은 총 공급 물량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194가구였다. 실제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이달 제주시에서 공급된 ‘나이스 6차 아파트’는 전체 청약자가 단 한 명에 불과했다.

 

올해 전국 시도별 청약 경쟁률(6월 20일 기준·n대 1). /자료=부동산114

 

같은 기간 전국 평균 청약 경쟁률은 10.83대 1이었다. 시도별 청약 경쟁률을 살펴보면 제주도가 가장 낮다. 지난해만 해도 평균 경쟁률이 68.83대 1로 부산(99.27대 1)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던 모습과는 딴판이다.

 

신규 분양시장 약세에 주택 시장 상승세도 꺾였다. KB국민은행 자료를 보면 지난 달 제주도 아파트 매매가는 0.06% 하락했다. 지난 2015~2016년 2년간 18.7% 상승하며 이어진 고공행진도 끊어졌다. 제주도 아파트값은 지난해 11월(1.24%)을 기점으로 상승세가 둔화하더니 올해 4월 보합(0.00% 상승)을 기록했고, 지난 달에는 결국 하락을 면치 못했다.

 

전문가들은 제주 주택 시장의 갑작스런 침체는 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사드) 배치와 중국 정부의 해외 투자 억제, 도내 투기수요 억제 등에 따른 중국인 투자 감소 탓이 큰 것으로 보고 있다.

 

중국인이 소유한 제주도 토지는 감소하고 있다. 지난 달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중국인이 보유한 제주도 땅은 842만㎡로, 전년(914만㎡)보다 7.9% 감소했다. 같은 기간 중국인 소유 국내 토지가 6.9% 늘어난 것을 감안하면 특히 제주가 중국인들의 관심에서 멀어진 것으로 해석된다.

 

제주 주택 매매와 토지 거래도 줄고 있다. 올해 1~5월 제주 주택 거래량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4.4% 감소했고, 지난 5년간 평균치와 비교해도 13.4% 줄었다. 올해 1분기 제주도 내 토지 거래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2% 줄었다.

 

제주도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 /자료=KB국민은행

 

박원갑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수석위원은 “제주도의 경우 차이나 머니가 빠진 데다, 단기간 주택 가격이 급등한 것도 부담”이라면서 “주택 가격 조정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심상찮은 제주도 미분양 증가세를 두고 지자체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하민철 제주특별자치도의회 환경도시위원장은 “현재 미분양 통계에 포함되지 않는 30가구 미만 공동주택까지 포함하면 제주도 미분양은 더 심각하다”면서 “현재 도가 기존 주택을 감정가로 사들여 저소득층에게 저렴한 가격에 임대하는 주택 매입·임대 사업이 있는데, 이를 확대해 미분양을 줄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자칫하면 지역 중소 건설사가 도산할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제주도청 관계자는 “최근 제주 미분양이 급증해 실태 파악에 들어갔다”면서 “아직 건설사들이 미분양 증가에 따른 심각한 위기를 맞은 건 아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