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추가대책 예고에 과열 국면 진정 가능성 "투기 잡기 한계" 지적도
금융투자업계에는 정부의 ‘6·19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지역 내 부동산 가격이 단기 조정을 받을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전문가들은 조정 전망 근거로 대출여건 악화로 인한 수요위축을 꼽았다.
한국투자증권 이경자 연구원은 20일 주택담보대출비율(LTV)보다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강화가 시장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잔금대출에도 DTI가 적용되면서 고가 분양이 영향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DTI 강화 2개월 후부터 적용지역을 중심으로 가격 안정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내다봤다.
투기과열지구 지정 등 정부의 추가 대책 예고도 하반기 시장 과열 억제에 도움을 줄 거라고 평가했다. KTB투자증권 김선미 연구원은 “예상보다 강한 규제였다”며 “향후 추가 대책도 시사하면서 규제지역의 기존 주택가격과 분양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이투자증권 진용재 연구원은 “부동산 대책이 주택 구매심리에 비우호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HMC투자증권 박현욱 연구원은 “지난 11·3대책보다 강도 높은 대책이 발표되면서 규제적용 지역의 단기적 가격 둔화는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NH투자증권 김형근 연구원은 “입주물량이 많은 지역의 하반기 주택가격 약세가 전망된다”고 말했다.
다만 지역별 주택가격 차별화와 양극화 현상은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중장기적인 가격 안정화를 위해선 서울·수도권에 적절한 주택공급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김선미 연구원은 “1인 가구가 증가하고 신규 아파트 선호 경향이 높아지는데 전국에는 중대형·노후 아파트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며 “공급 부족은 시간이 갈수록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나금융투자 채상욱 연구원은 “맞춤식 규제가 단기 가격 변동성 확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기대감은 준다”면서도 “근본적으로 공급 부족에 기반한 상승까지 억제할 수는 없다”고 내다봤다.
이번 대책이 과열된 시장에 대응하기엔 부족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대신증권 김세찬 연구원은 “8월 가계부채 종합관리방안에서 나올 대출 규제에 따라 부동산 시장 영향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 그래픽=이석희 기자
'일반(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목고 폐지 논란에.."강남 전월세 폭등할 수도" (0) | 2017.06.22 |
---|---|
6·19 대책 비껴간 흑석·한남동 재개발 시장..풍선효과로 몸값 '쑥' (0) | 2017.06.22 |
6·19 부동산 대책 이후..갭투자 강남 재건축 그들은 웃는다 (0) | 2017.06.21 |
부동산대책 이어 입주물량도 급증..상승세 집값에 조정 오나 (0) | 2017.06.21 |
증권가 애널리스트들이 분석한 '6.19 대책' 주택시장 영향은? (0) | 201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