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츠 자산 25.1조..임대주택 활성화에 주택리츠 45.3% 차지
(세종=뉴스1) 김희준 기자 = 지난해 부동산투자회사(리츠)의 평균 배당률이 일반예금 금리의 4배 수준을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리츠는 주식회사 형태로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고 수익을 돌려주는 부동산간접투자기구를 말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리츠 결산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리츠 운용 자산규모가 지난해 말 25조원을 돌파하고 평균 배당률은 6% 수준을 기록했다고 31일 밝혔다.
특히 지난해엔 신규 리츠의 증가로 59개 리츠가 새롭게 인가를 받아 현재 169개의 리츠가 운용되고 있다.
리츠 투자대상의 경우 분양전환공공임대와 행복주택, 뉴스테이 등 임대주택 리츠가 활성화되면서 주택부분에 대한 투자가 크게 성장했다. 실제 주택투자 리츠의 자산규모는 2015년 4조7000억원에서 2016년 11조4000억원으로 2배 넘게 증가했다. 자산규모도 전체 리츠 중 45.3%를 차지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도시재생사업 리츠가 처음으로 추진 중"이라며 "리츠가 앞으로 도시재생 뉴딜 사업에 큰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평균 수익률은 6%로 운영기간 중 배당이 어려운 임대주택 리츠를 제외하면 실질적인 평균 배당수익률은 9.8%를 기록해 채권, 예금 수익률보다 높았다.
이중 코크렙 제11호 등 오피스 대상 3개 리츠의 수익률이 9%를 나타냈다. 이는 STX남산타워, 타임스퀘어 A&B동 등의 자산매각이 영향을 미쳤다.
동탄2제일호대토 등 2개의 리테일 리츠는 분양수익이 반영돼 전체 배당수익률이 9.4%를 기록했다.
이밖에 현재 4개인 상장 리츠의 평균 배당수익률은 3.1%로 전체 평균 배당수익률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가상승으로 인한 자본 수익을 반영할 경우 평균 수익률은 54.4%에 달한다"고 말했다.
규모별로는 리츠 1개당 평균 자산규모는 1485억원으로 자산규모 3000억원 이상 대형 리츠는 26개를 기록했다.
자산규모가 3000억원 이상인 대형 리츠는 오피스가 6개이고 주택이 15개로 임대주택 공급 확대가 대형리츠 증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유형별로는 위탁관리 리츠가 131개로 가장 많고 기업구조조정 리츠가 32개, 자기관리 리츠 6개다.
지난해 기준 리츠의 공모·상장은 모두투어호텔 리츠가 2016년 9월 추가로 상장되어 자산규모가 2015년 2868억원(3개)에서 3548억원(4개)으로 늘었다.
자산관리회사의 경우 지난해 기준 전업 자산관리회사는 14개이고 겸영사는 11개(신탁사 10개.법률 위탁기관 1개)이다.
수탁규모와 비중은 LH(한국토지주택공사)가 6조8996억원(29개)으로 27.8%를 차지했다. 코람코자산신탁이 5조4370억원(21개)으로 21.9%, 제이알투자운용이 1조3668억원(15개)으로 5.5% 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 관계자는 "리츠 산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우량한 공모·상장 리츠가 증가될 수 있는 투자환경을 조성하고 도시재생 등 정부정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연기금 등이 참여하는 공공리츠도 활성화하겠다"고 말했다.
h9913@
'일반(부동산 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시장 과열신호 포착땐 'DSR 조기도입' 대출부터 죌듯 (0) | 2017.06.02 |
---|---|
주택시장 안정 위한 선행 과제는.. (0) | 2017.06.02 |
경기 양주·강원 강릉 미분양 관리지역 추가 지정 (0) | 2017.06.01 |
"부동산과 4차산업 융합 위해 규제 풀고 공공정보 공개해야" (0) | 2017.05.31 |
새정부 도시 재생사업 재개로 서울뉴타운 '눈길' (0) | 2017.05.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