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계획·개발지도

서울시 정비예정구역, 사대문 안에선 '줄이고' 낙후지역선 '늘린다'

웃는얼굴로1 2016. 5. 10. 13:10

사대문 내 재개발 예정구역 110만㎡ '해제'…영등포·용산 낙후지역 정비 '강화'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 도계위 통과 …여러 정비방식 적용 '혼합형' 도입


[아시아경제 조은임 기자]서울 사대문 내 110만㎡ 규모의 재개발 예정구역은 역사성을 살리기 위해 해제되고, 영등포와 용산의 낙후 지역은 정비예정구역을 확대한다. 도시재생을 기존 전면 철거 위주에서 '보전'과 '개발' 투트랙 체제로 전환해 지역별 특성을 살리는 정비사업이 추진하기 위해서다.

 

자료:서울시
자료:서울시

 

서울시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이 도시계획위원회를 통과했다고 9일 밝혔다.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은 '2030 서울플랜', '역사도시기본계획' 등 상위 계획의 실행수단으로 도심지역 내 재개발 사업의 기본골격이 되는 계획이다.

 

우선 한양도성 내에서는 역사문화중심지 보전을 위해 110만㎡ 규모의 재개발 예정지역을 해제하기로 했다. 익선동·낙원동 일대, 인의동·효제동 일대, 종로5가 일대, 주교동·오장동·충무로5가 일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일대 등이 해당된다. 이는 도심부 정비예정구역(362만㎡)의 30%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70년대 이후 이 지역의 정비사업은 전면철거를 통한 업무·기반시설 확충에 초점이 맞춰져 있었지만 역사성과 장소성이 사라진다는 문제가 제기된 데 따라 방향을 전환한 것이다.

 

자료:서울시
자료:서울시


반면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 준공업지역 등 낙후된 지역은 정비예정구역을 확대한다. 영등포 대선제분공장 일대와 용산 남영동 업무지구·삼각맨션부지, 서대문 충현동 일대 등이 포함된다. 이 지역들은 관련 계획에 따라 도시환경정비계획을 수립할 경우 정비예정구역으로 간주하는 방식으로 개발된다.

 

또 영등포·여의도는 정비사업 예정구역을 확대 적용해 국제금융 중심기능을 강화한다. 가산·대림과 성수 지역은 준공업지역 종합발전계획과 연계해 창조적 지식기반 산업 집적지로 육성할 계획이다.

 

이번 계획안에서는 '혼합형 정비방식'이 도입됐다. 한 구역 내에서 여러 정비방식 적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대규모 개발을 통해 전략적으로 중심지를 육성하는 '일반 정비형', 지역특성과 장소성을 고려해 점진적으로 정비하는 '소단위 정비형', 역사문화 유산을 보전하는 '보전 정비형' 등이 해당된다. 시는 재개발 구역 내 위치해 철거 위기에 있는 YMCA, 성남교회, 대한체육회관, 신한은행, 남대문교회 등 역사적 가치가 높은 근·현대 건축물이 위치한 지역을 '보전 정비형 지구'로 지정했다.

 

도심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쉐어하우스, 레지던스, 소호(SOHO) 등 다양한 유형의 도심형 주거지도 공급하기로 했다. 거주용도 가능 지역이 도심 전체로 확대되고, 소형·준공공임대주택 도입시 용적률도 최대 50%까지 확대된다. 보행인구를 늘리기 위해서 지나치게 넓은 도로를 줄이고 건물 1층에 전시시설과 상가를 조성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된다.

 

이외에 중심지의 상업지역에서 대형빌딩을 신축할 때 친환경 건물, 실내형 공개공지, 홍수·화재 예방시설 등을 도입할 경우 용적률을 100%까지 확대해 준다. 실내형 공개공지와 공공보행통로를 도입하는 경우엔 최대 50% 내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시는 앞으로 '2025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을 재공람한 후 오는 7월 중 고시할 예정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기본계획을 통해 보존할 곳은 확실히 보존하고 개발이 꼭 필요한 곳은 개발될 수 있도록 적극 추진해 역사와 미래가 공존하는 도시 서울의 경쟁력을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조은임 기자 goodnim@asia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