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 구성 이어 연구용역 발주..역세권 중심 일자리·임대주택으로 도시활력 제고
서울시가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중장기대책으로 역세권 활성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저성장 시대에 대비해 대중교통 중심의 일자리 창출과 임대주택 공급으로 도시에 새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판단이다.
9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역세권 활성화 TF'(태스크포스)'를 꾸리고 역세권 중심의 도시 공간 재편을 위한 본격 논의에 돌입했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시절을 비롯해 그간 여러 차례 지엽적인 수준의 역세권 활성화 방안이 논의되긴 했지만 도시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역세권 개발계획 수립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시는 일자리 감소와 주거비 부담 증가 등으로 이탈 인구가 늘어나면서 도시 활력이 감소하고 더 나아가 '1000만 인구 서울'의 위상까지 흔들리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이번 방안 마련에 나섰다. 그동안의 도시계획이 역세권을 중심으로 이뤄지지 않아 토지 활용도가 떨어지고 난개발 우려가 커졌다는 반성도 녹아 있다.
시는 우선 뉴욕 맨해튼과 같은 압축도시 개념을 도입해 역세권(역으로부터 반경 500m 이내)을 중심으로 도시공간을 재편하겠다는 큰 그림을 그려놓은 상태다. 이후 TF 논의와 연구용역을 통해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일자리 창출, 역세권 시프트와 같은 저렴한 임대주택 공급 등 세부 실행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시는 그 첫 단계로 지난달 도시계획국, 도시건축국, 도시재생본부, 산하 SH공사 등이 참여하는 역세권 활성화 TF 운영에 들어갔다. 이어 이달 중으로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중심지 고밀주거 공급관리방안 마련'을 주제로 연구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내년 말까지 장기계속사업으로 추진되는 이번 연구용역에는 총 4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시는 300여 곳에 달하는 서울 전역의 역세권을 조사, 분석하고 개발 잠재력을 진단하는 한편 향후 개발 관리방안까지 종합 검토할 계획이다. 아울러 역세권 각각의 입지특성을 분석, 권역별 맞춤형 개발방안을 마련하고 노후토지 등 이용도가 낮은 토지에 대한 이용 활성화 방안도 구체화할 방침이다.
서울시 도시계획국 관계자는 "그동안 역세권 개발에 대한 이야기는 많이 했지만 체계적인 분석이나 검토가 이뤄지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뉴욕, 도쿄, 홍콩 등 대표적인 해외 역세권 고밀주거지의 장단점을 두루 살피고 서울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서울시 관계자는 "개발이 미진한 역세권을 보면 개발 규제, 과도한 지대 상승, 주차난 등의 문제점의 눈에 띈다"며 "시에서 이런 과제들을 정리해 제도개선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신희은 기자 gorgon@mt.co.kr, 엄성원 기자 airmaster@mt.co.kr
'개발계획·개발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광주도시기본계획 초안~! (0) | 2016.03.20 |
---|---|
노량진 개발 탄력받나..서울시, 마스터플랜 수립 착수 (0) | 2016.03.16 |
낙후한 숙명여대 주변 교육·문화·주거 결합공간으로 (0) | 2016.02.26 |
<무역투자회의> 새만금 투자 국내기업도 '규제프리' 인센티브 (0) | 2016.02.18 |
<무역투자회의> 서울 양재·우면 '도심형 R&D단지'로 키운다 (0) | 2016.02.18 |